생성형 AI, 농촌에 상륙하다! 신규농업인도 놀란 디지털 전환 강의

신규농업인을 위한 생성형 AI 입문 강의, 현장 반응은?

좋은세상바라기 최병석 박사, 남원에서 전하는 AI 농업 혁신 비법

남원시 농업기술센터, 농업의 디지털 대전환을 알리다

남원시농업기술센터가 마련한 ‘생성형 AI 활용 기초영농기술교육’이 농업 분야에 새로운 시각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4월 25일, 남원시로 이주한 신규농업인과 청년농업인 30명이 참여한 이 교육은 단순한 강의를 넘어 AI의 소개 및 시연장으로 탈바꿈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강사로 초청된 최병석 대표는 구글 공인 교육 전문가이자 경영학 박사로, 농업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들을 통해 ‘디지털 전환과 생성형 AI의 실전 활용법’을 전했다. 낯선 기술이 아닌, 내일의 농업을 위한 필수 지식으로 받아들여진 이번 강의는 남원 지역 농업인들에게 디지털 전환의 실질적인 가능성을 체감하게 해주었다.

 

생성형 AI란 무엇인가: 농업에서의 새로운 디지털 도구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을 넘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음악, 프레젠테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ChatGPT처럼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텍스트 생성 AI부터, SUNO처럼 노래를 만들거나 이미지FX처럼 사진을 생성하는 도구까지, 생성형 AI는 점점 우리 생활 가까이 들어오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도 이 기술은 작물 홍보 콘텐츠 제작, 농산물 브랜드화, 농업 기술 전파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농업인들에게도 직관적이고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왜 농업과 연결되어야 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이번 교육의 출발점이었다.

 

교육 현장 속으로: 남원시농업기술센터에서 진행된 AI강의
4월 5일 금요일 오후, 남원시농업기술센터 3층 강당에는 이주 신규농업인과 청년농업인 30명이 자리를 가득 메웠다. 이번 교육은 남원시농업기술센터가 주최하고, 생성형 AI 전문기관 좋은세상바라기(주)의 최병석 대표가 강사로 나서 진행했다. 오후 1시 30분부터 4시간 동안 이어진 강의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실제 AI 도구 활용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들은 AI를 통해 음악, 이미지, 프레젠테이션 등을 만들어가는 것을 보며 생성형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경험했다. AI와 농업이 만나는 실전형 강의에 현장의 열기는 더욱 뜨거웠다.

 

손에 잡히는 AI 체험: 농업인을 위한 생성형 AI 교육
이번 교육의 백미는 단순한 이론 중심 강의에서 벗어나, 참가자들은 AI 도구들의 생생한 시연과 소개를 통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을 경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수노(SUNO)로 텍스트 기반 노래를 만들고, 감마(GAMMA)를 통해 AI 프레젠테이션을 생성했으며, 젠스파크(GENSPARK)와 냅킨(NAPKIN)으로 실전 메모와 콘텐츠 기획 도구의 활용법도 익혔다.

 

특히 챗지피티(ChatGPT)와 맞춤형 챗봇(GPTs)를 이용한 프롬프트 작성은 참여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이미지FX로는 농산물 소개용 이미지도 제작해보는 등, 이번 강의는 농업 현장에 곧바로 적용 가능한 디지털 도구에 참가자들은 깊은 인상을 받았다.

 

디지털 장벽을 넘다: 농업인도 쉽게 배우는 AI 활용법
생성형 AI 교육은 단순한 기술 전수가 아니었다. 교육에 참여한 많은 이들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거리감을 갖고 있었지만, 강의가 진행될수록 이러한 장벽은 무너져 내렸다.

 

최병석 대표는 "디지털을 몰라도 괜찮다, AI는 누구나 쓸 수 있는 도구"라는 메시지를 강조하며, 참가자 눈높이에 맞춘 실습과 설명을 반복했다. 특히 프롬프트 작성법을 처음 접한 교육생들은 이를 통해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낸다'는 성취감에 큰 감동을 표했다.

 

교육생 중 일부는 “스마트폰으로 노래와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신기하다”고 소감을 밝혔으며, 이는 디지털 문맹 해소를 넘어 디지털 주체로서의 자신감을 불어넣는 기회가 되었다.

 

교육 그 이후: 농업 현장에 불어올 디지털 전환의 물결
이번 교육을 통해 생성형 AI를 접한 신규농업인과 청년농업인들은 농업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수업에서 익힌 AI 도구는 단순한 흥미를 넘어, 농산물 마케팅 콘텐츠 제작, SNS 홍보, 스마트농업 매뉴얼 작성 등 실전 업무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특히 자신만의 브랜드를 만들고자 하는 농업인들에게는 AI가 강력한 조력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전환과 생성형 AI 활용’이라는 낯설지만 시대를 앞서가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교육은 농업인이 주체가 되는 미래 농업 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을 보여주었다.

 

참가자들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직접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혔으며, 교육 후 “실제로 농사에 적용하고 싶다”, “내 농장을 홍보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는 긍정적인 후기를 남겼다. 강의를 이끈 최병석 대표는 “디지털 기술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누구나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하며, 참여자들의 호기심과 의지를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작성 2025.05.02 13:15 수정 2025.05.02 13:19

RSS피드 기사제공처 : 농업경영교육신문 / 등록기자: 최시유 수석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3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4월 30일
대청의 그거 왜 해?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