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5.3(토)부터 성남시 지하철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성남시 내 기존 8호선 7개 역 외 수인분당선 10개역·경강선 3개역 추가

기존 30일권 6만원대(청년할인 5만원대), 단기권(1·2·3·5·7일) 그대로 사용

시, 수도권 공동생활권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기후동행카드’ 이용확대 지속 노력

[이미지=기후동행카드(GO SEOUL)]

 

5월 3일(토)부터 ‘기후동행카드’를 성남시 구간인 수인분당선 가천대역~오리역 10개 구간과 경강선 이매, 성남, 판교 3개 역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기존 성남시 구간에서 이용가능했던 8호선 7개 역사(모란~남위례역)를 포함하면 성남시 구간에서 ‘기후동행카드’의 이용이 가능한 지하철역은 20개 역사로 확대된다.

 

 성남시를 통과하는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인 302번, 333번 등 11개 노선은 이미 기후동행카드가 적용되어 운영 중이다.

※ 성남 경유 서울 시내버스 : 302, 303, 333, 343, 345, 422, 440, 452, 3420, 4425, 4432 (총 11개 노선 이용가능)

※ 단, 서울시 면허 광역버스인 9401, 9401-1, 9404, 9408, 9409번은 이용 불가

 

 

 ‘기후동행카드’ 요금 권종도 일반 30일 권종(▲6만2천원, ▲6만5천원), 만 19~39세 청년은 7천원 할인된 청년할인(▲5만5천원, ▲5만8천원), 단기권(▲1일권 5천원, ▲2일권 8천원, ▲3일권 1만원, ▲5일권 1만5천원, ▲7일권 2만원)이 그대로 적용된다.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는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간편하게 모바일 기후동행카드를 무료로 발급받아 30일권, 단기권을 선택하여 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실물 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역사 내 고객안전실, 신림선, 우이신선설 등 인근 편의점에서 ‘현금 3천원’에 구매한 후 1~9호선, 신림선, 우이신선설 역사 내 충전기에서 ‘기후동행카드’ 요금 권종을 선택 및 현금 또는 신용카드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충전이 필요없는 후불 기후동행카드(신용·체크)를 발급받을 경우, 일반결제와 기후동행카드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편의점에서 구매한 실물 카드와 후불 기후동행카드는 구매 후 ‘티머니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 후 이용해야 한다. 등록된 카드에 한해 따릉이 이용, 잔액 환불, 청년할인 및 후불 기후동행카드의 월 부담한도 등을 적용받아 이용할 수 있다.

※ 후불 기후동행카드를 미등록 후 이용하는 경우, 실제 사용 금액 전액 청구

 

 또한, 청년할인의 경우 청년 본인이 아닌 타인이 카드를 사용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1인 1카드 등록 이용을 원칙으로 6개월마다 본인 인증을 해야 하며, 단기권은 충전 당일부터 바로 사용이 개시됨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서울과 인접한 도시인 성남시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지역 확대로 많은 서울과 성남을 오가는 많은 수도권 시민들의 이동 편의가 증진되길 바란다”며, “성남시 외에도 협약이 완료된 하남시와 의정부시도 조속하게 시스템 개선 등을 추진하여 보다 많은 수도권 시민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유미 문화부 기자 yum1024@daum.net
작성 2025.05.02 13:48 수정 2025.05.02 13:5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IT산업뉴스 / 등록기자: 김유미 문화부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3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4월 30일
대청의 그거 왜 해?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