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정보 정책 대전환…Geo-AI로 공간정보 혁신 가속

5,800억 원 투입…국토부, AI 기반 ‘디지털 트윈국토’ 조기 실현 나선다

‘지도에 말을 걸다’…AI·드론 활용한 스마트 공간정보 시대 개막

출처:imageFX 김수현기자

공간정보 AI 본격화… 국토부, 2025년 5,800억 원 규모 정책사업 추진


‘디지털 트윈국토’ 앞당긴다… Geo-AI 도입, 지하침하 예측까지

 

국토교통부가 공간정보 산업의 전면적 고도화를 선언하며, 2025년 한 해 동안 약 5,800억 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사업을 집행한다.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디지털 트윈국토를 조기에 실현하고, 국민 생활 안전과 행정 효율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전략적 목표 아래 추진된다.

 

국토부가 마련한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에 따르면, 중앙정부가 총 104개 사업에 3,800억 원, 지자체가 1,105개 사업에 약 2,000억 원을 각각 투입할 예정이다. 

 

이는 1995~2005년 평균 연간 투자 규모(720억 원) 대비 약 8배에 달하는 수치로, 공간정보의 위상이 산업 전반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점은 AI 기반 ‘Geo-AI’ 기술의 도입이다. Geo-AI는 단순한 지도 검색을 넘어 사용자의 텍스트 질문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공간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예컨대 "지하철 도보 5분, 전세 3억 이하, 키즈카페 인근 아파트"라는 조건을 입력하면, Geo-AI가 이를 해석해 조건에 맞는 위치를 지도 위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더 나아가 드론 영상 분석을 통해 불법 건축물이나 쓰레기 투기 등도 자동 탐지할 수 있어 행정 효율성까지 크게 높일 전망이다.

 

플랫폼 측면에서도 대대적인 고도화가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공간정보 플랫폼인 K-GeoP와 대민 서비스 플랫폼 V-World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양자암호통신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해 대용량 3D 데이터의 안정적 처리와 보안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종이 지도 위주로 제공되던 일부 제한 정보도 온라인으로 전환된다.

 

이 외에도 디지털 트윈 기반 지하시설물 안전관리체계, 공장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 해양공간 영향 예측 등 산업별 융합 서비스가 다수 포함되었다. 특히 지하공간 통합지도에는 지반침하 이력, 연약지반 정보, 홍수 이력 등을 연계해 재난 안전 대응 능력을 끌어올린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고정밀 3차원 공간정보는 도심항공교통(UAM), 로봇 산업 등 미래 산업의 기반”이라며 “디지털 트윈국토 실현을 위해 민관이 함께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의:010-2809-1390

작성 2025.05.02 19:30 수정 2025.05.02 19:3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AI부동산신문 / 등록기자: 김수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3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4월 30일
대청의 그거 왜 해?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