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12개 (171 페이지)
[이봉수 칼럼] 이순신 전적지 월명포(月明浦)는 어디인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 나타나는 월명포(月明浦)라는 곳은 현재 지명으로 어디일까? 우선 월명포(月明浦)가 언급된 『난중일기』 기록부터 살펴...
[최민의 영화에 취하다] 국제시장
“내는 그리 생각한다. 힘든 세월에 태어나가 이 힘든 세상 풍파를 우리 자식이 아니라 우리가 겪은 기 참 다행이라꼬” 역사를 리라이팅하는 건 문화의 힘이다. 그 문화 중에서도 강력한 한 방은 영화다. 할아버지 세대가 온몸으로 겪은 한...
[신기용 칼럼] 오늘날 사랑의 매는 아동 학대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없다.” 혈육은 다 소중하고 귀한 존재이다. 이를 비유한 속담이다. 자식은 모두 내 손가락과 같은 존재이다. “미운 아이 먼저 품어라.”“미운 아이[놈] 떡 하나 더 준다.”“...
[김태식 칼럼] 달 아래에 묶인 수레
밤늦게 모임을 마치고 집으로 가는 길목에 남루한 옷차림의 노인 한 분이 길 위에서 힘겨운 손놀림을 하고 있다. 길가에 흩어진 폐지를 주워 수레에 싣고 있었으나 잘되지 않는다. “종이를 주워 싣고 오다가 길바닥에 흘렸는데 주워 올릴 기운이 없...
[허정진 칼럼] 벌초하는 날
처서를 훌쩍 넘긴 가을 문턱이지만 늦더위가 아직 집요하다. 청량(淸凉)보다는 명징(明澄)이다. 메숲졌던 산야는 점점 푸름을 잃어가고 열기가 한층 꺾인 하늘은 슬슬 수채화를 닮아간다. 강가 노송 숲 사이를 빠져나온 바람이 논두렁에 핀 허연 망초...
[유차영의 아랑가] ‘아름다운 강산’
세상이 험악해지면 헛웃음이 나온다. 체념(諦念)과 달관(達觀)의 경지에 이르러, 새로움을 지향하는 화두도 회자 된다. 1972년 신중현이 지어서 부른 노래 <아름다운 강산>이 바로 그런 유행가다. 이 유행가 아랑가는&nbs...
[이봉수 칼럼] 이순신 전적지 이목구미, 화준구미, 원두구미, 군영구미는 어디인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와 임진장초에는 구미(龜尾)라는 지명이 4개 등장한다. 이목구미(梨木龜尾), 화준구미(花樽龜尾), 원두구미(元頭龜尾), 군영구미(軍營龜尾)가 그것들이다. 구미는 포구 형태로 해안 깊숙이 들어간 지형적 특징을 갖고 있다. 바깥 바다에서 보면 잘 보이...
[홍영수 칼럼] 학문의 원천수(源泉水), 인문학
공자나 플라톤, 그들의 작품인 <논어>나 <소크라테스의 변명> 같은 고전들은 수많은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우리들의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혜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값진 존재로 여기고 있다.&nb...
[김관식 칼럼] 부자가 되는 방법
고대 바빌론의 점토 석판에서 발견된 5000년, 황금의 법칙에는 제1법칙으로 황금은 자신의 미래와 가족의 미래를 위해 소득의 10분의 1을 저축하는 사람에게 몰려든다. 종잣돈을 마련해 두라는 말이다. 제2...
[이봉수 칼럼] 이순신 전적지 적도(赤島), 불을도(弗乙島), 침도(砧島)는 어느 섬인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 나오는 적도(赤島)와 불을도(弗乙島) 그리고 침도(砧島)라는 섬은 현재 지명으로 어디일까. 우선 적도(赤島)에 대한 난중일기 기록부터 살펴보자. "1593년 6월 26일(기유) 큰비가 계속 내리고 남풍이 많이 불었다. 아침에 복병선이 ...
[이태상 칼럼] 사랑하는 순간만 영원하리
우리가 구름잡이라 할 때는 그 실체가 없다는 말이다. 요즘 우리가 ‘구름’이라 할 때는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이기보다는 ‘데이터 구름’이거나 ‘네트워크 구름’을 말할 정도로 자연계와 기계문명의 기술계가 구분이 분명치 않게 되었...
[심선보 칼럼] 스트레스 DSR, 스트레스를 불러온다
한국은행이 22일 또다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다. 1년 6개월 동안 이어진 역대 최장 13차례 연속 동결 기록이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은 이미 금리를 내렸거나 인하를 사실상 예고한 상태지만, 우리 대한민국...
[윤헌식의 역사 칼럼] 『난중일기』에 기록된 『동국사』
전쟁은 인간의 생존 환경을 극한의 상황까지 몰아붙이는 시기이다. 군대에 의한 잔혹한 살상, 식량 부족, 전염병 창궐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이 닥쳐오는 때이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또한 그러한 시기였다. 충무공 이순신의&...
[고석근 칼럼] ‘이상 사회’를 찾아서
모든 이론은 회색이고, 오직 영원한 것은 저 푸른 생명의 나무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에서 나는 대학 시절에, 사범대학에 다니면서도 철학을 공부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곽흥렬 칼럼] 전 국민의 정신병자화
부동산 투기 세력이 광기 들린 짐승처럼 날뛰고 있다. 아파트를 자그마치 150채 이상 가진 사람이 수백 명에 이른다는 어느 통계 자료는 우리를 아연하게 한다. 우울하게 한다. 아니, 슬프게 만든다. 한 세...
[신기용 칼럼] 사람답게 살자
현재 우리나라 의무 교육은 중학교까지이다.적어도 정상적인 젊은이라면 중학교는 졸업했다는 의미이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도 간단한 문장의 뜻을 해독하지 못하는 젊은이를 자주 본다. 자기 이름조차 그림을 그리듯 겨우 쓰는 젊은이도 간혹 본다. &n...
[김태식 칼럼] 어느 가을날의 하루
이른 아침 동네 한 바퀴 산책을 나서면 여름의 열기는 간데없고 볼에 와 닿는 바람이 어느새 차갑다는 느낌을 준다. 후텁지근함도 함께 가버리고 상큼함이 있다. ‘이제 가을이 왔구나’하고 어루만져 주고 싶기도 하다. 가을이라는 계절은 ...
[허정진 칼럼] 나비, 다시 읽다
한 줄의 시(詩)가, 한 폭의 수채화가 거기 있다. 나풀나풀 날갯짓으로 투명한 오선지를 노래하듯이 오르내린다. 한복의 선과 색이 저렇고, 부채춤을 추느라 사뿐사뿐 버선발의 율동과 맵시가 저러할 것이다. 기류를 타는 새가 아니...
[이윤배 칼럼] 사기꾼 고소하기
사람이 태어나 한평생 살아가면서 가능한 한 가지 말아야 할 곳으로 흔히 ‘경찰서, 검찰청, 법원, 그리고 병원’ 등을 꼽는다. 이들 기관은 직간접적으로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필요한 곳이지만 가게 됨으로써...
[김관식 칼럼] 성공이란
성공이란 무엇인가. 미국의 여류작가 베시 앤더슨 스탠리가 쓴 시 「무엇이 성공인가?」를 보면, 진정한 성공이 무엇인지 아마 어렴풋이 짐작이 갈 것이다.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현명한 이에게 존경을 받고 아이들에게서 사랑...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사진=코스미안뉴스사진=코스미안뉴스사진=코스미안뉴스 요즘 이런 장독간을 보기 힘들다...
안녕하세요. 박지혜입니다. 시는 진실의 언어로 깨어나 우리에게...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시상식 사진에서의 손기정 선수(손기정기념재단)1936년 베...
“세상이여 반갑다. 사람들이여 고맙다.” 신문기자 출신 평론가...
안녕하세요. 박지혜입니다. 시는 진실이 언어로 깨어나 우리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