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24개 (172 페이지)
[이태상 칼럼] 신나게 살자 Let,'s Live with Enthusiasm
2022년 5월 16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아름다운 우리말] 칼럼 '작두를 타다' 필자 조현용 경희대학교 교수는 "('작두를 타다'는 건) 신이 나는 겁니다. 신나서 일을 하면, 덜 힘듭니다. 신나다를 어원적으로 살펴보자면 신이 내 몸속...
[홍영수 칼럼] 삼구홍타(三九紅墮)의 붉은 연꽃, 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
가부장제, 숨이 막힐 것 같은 유교적 이념 아래 조선시대 여인들은 죄지은 듯 규중(閨中)에 갇혀 부모 봉양하고 자식을 길렀다. 물론 궁중의 비극을 담은 ‘한중록(閑中錄)과 ‘인현왕후전’ 등은 여인의 붓끝에서 탄생했고, 또한 규방문학 등이 있다. 이 중에 허난설헌은 사대...
[김관식의 한 자루의 촛불] 지역사회의 문화 창조
학교는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교육기관이다. 따라서 학교는 그 지역사회만이 안고 있는 지역문화가 반영되어 그 학교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학교풍토를 형성하는 주요한 배경이 된다. 그 지역사회의 생활수준, 생활방식, 생활문화, 전통의식 등 다양한 문화의 총체로서 학교가 선도적...
[이태상 칼럼] '추앙하라 Admire'
(날) 추앙하라. 그럴 수 없다면 (그건) 네 손실, 내 이득 Admire (me). If you can't, it's (your) los...
[하진형 칼럼] 어머니, 하얀 어머니
‘작은 애는 아직 전화 안 왔죠?’ ‘응, 공부한다고 정신이 없나 보지 뭐.’ 큰아들 내외와 어버이날 저녁 식사를 하러 가면서 아내와 나눈 대화다. 언제부턴가 5월을 가정의 달이라면서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을 번갈아 챙기는 것이 풍습이 되다시피 되었다. 그것도 그럴 것이 ...
[최규성 칼럼] 지명풀이 기질기리성(己叱己利城)
‘기질기리성(己叱己利城)’은 『일본서기』 계체기 23년조에 실려있는 성의 이름이다. 임나지역의 분쟁을 중재하기 위해 파견된 근강모야신(近江毛野臣)이라는 인물이 신라와 백제를 업신여기고 거드름을 피우다가 신라의 상신(上臣) 이질부례지간기(伊叱夫禮智干岐=이사부)가 군사 3...
[고석근 칼럼] 자의식
유(類)로서의 인간은 동물보다도 진보하지 않았다. - 프리드리히 니체 고등학교 다닐 때 같은 과 친구와 자취를 했다. 소소한 갈등이 몇 번 있었다. 어느 날 뒷산으로 올라가 얘기를 했다. 얘기를 하다 보니 분명히 내가 옳았던 것들이 연기처...
[민병식 칼럼] 박완서의 '도둑맞은 가난'에서 배우는 우리에겐 나누며 살아야 할 의무가 있다
박완서 작가의 초기작 중 하나인 이 작품은 70년대 당시의 사회적 현상을 그린 수작으로 가난에 대한 주인공의 현실적 아픔을 아주 생생하게 그린 수작이다. 아버지가 사업에 실패하자 어머니는 아버지, 동생과 함께 연탄불을 피워놓고 자살을 했다. ...
[이태상 칼럼] 김지하 학형 영전에 바치는 조사弔詞/弔辭
1960년대 우제가 코리아타임스 기자로 근무하다가 그 당시 기자생활이 생리에 맞지 않는다며 일찍 그만두고 '해심(海心)'이란 이색 주점 대폿집을 차리자 김형께서 자주 찾아주셨지요. 삼가 김 형 영전에 지난해 2021년 3월...
[사설] 제20대 윤석열 대통령에게 당부한다
오늘은 제20대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는 날이다. 어렵고 험난한 길을 거쳐 이 나라의 최고 통치권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오늘부터 출발하는 윤석열정권에 거는 국민들의 기대는 매우 크다. 평소 자유를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고 있다는 윤석열 대통령...
[이태상 칼럼] 국민의 민도와 품격
[ 전임 대통령이 남긴 편지 ] 1993년 1월 20일, 백악관에 입성한 신임 대통령 빌 클린턴(제42대)은 집무실 책상 위에 편지가 하나 놓여 있는 것을 발견했다. 전임자인 조지 H.W. 부시(아버지 부시.제41대)가 백악...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물방아 도는 내력
2022년 대한민국 정치판은 희화(戱畵)의 병풍과 같다. 우스꽝스러운 그림 여러 편 속 희객(唏客)들을 마주하고 있는 듯하다. 쇠락하는 정치꾼들이여~, 국리민복(國利民福)이란 말을 들먹거리지 말지어다. 그대들의 정수(政數) 셈법에 국민과 국가라는 상수와 변수는 어찌 계...
[홍영수 칼럼] 절절한 사랑의 공감체험 '팰리스 곤잘레스-토레스‘Untitled(Bed) 1991’
형형색색의 빛으로 불을 밝히는 저녁이다. 하늘을 치솟는 거대한 마천루의 위엄 앞에 짓눌린 사람들, 그들의 영혼은 넝마처럼 찢기고 흩어지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수도, 그 이름의 문명 앞에 맥없이 걷는 사람들의 눈동자는 희망을 잃고 길을 잃은 듯 방황을 하기도 한다. ...
[김관식의 한 자루의 촛불] 교육박물관
교직에 첫발 내 디딘지 어느새 40여년이 지나버렸다. 엊그제 발령받은 것 같은데 세월이 빠르기도 하다. 그동안 교육계도 많이 변했다. 컴퓨터가 없는 시대, 공문이 오면 묵지를 대고 글씨로 써서 보냈던 기억, 원지를 긁어 시험문제를 출제하거나 학부에게 알리는 글을 손수 ...
[이태상 칼럼] 인연人緣 아니 인연因緣은 천연天緣, 우연偶然 아니 우연宇然이리
2022년 5월 4일자 미주 뉴욕판 오피니언 [삶과 생각] 칼럼 ‘인연’ 필자 수필가 제이슨 최는 “‘인연’하면 불교에서 말하는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란 말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인(因)이란 결과를 만들어내는 직접적인 힘을 말하고, 연(緣)은 그것을 돕는...
[하진형 칼럼] 기다림은 희망이다
[사진=하진형]이번에는 봄비가 제법 내렸다. 이전에도 두어 번 내리기는 했지만 겨우 겉흙만 적시고 지나갔었는데 이번에는 무논을 채우고 넘었다. 지난번에 홑갈이를 해 놓고 비가 오지 않...
[최규성 칼럼] 지명풀이 다사진(多沙津)
■ 다사진(多沙津)이라는 지명의 출전 『일본서기』에는 ‘다사(多沙)’ 혹은 ‘대사(帶沙)’라는 지명이 실려 있다. 이 ‘다사(多沙)’ 혹은 ‘대사(帶沙)’는 나루였으며, 백제와 일본 사이에 중요한 교역 통로였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종래의 학자들은 섬...
[고석근 칼럼] 반려견
바다에는 진주가 있고, 하늘에는 별이 있다. 그러나 내 마음, 내 마음, 내 마음에는 사랑이 있다.- H.W. 롱팰로 공원 의자에 앉아 쉬고 있는데, 갑자기 왁자한 소리가 난다. 고개를 돌려보니 사람들이 개들을 사이에 두고 대화를 나누고 있...
[민병식 칼럼] 윌리엄 위마크 제이콥스의 '원숭이의 손'이 경고하는 지나친 욕심
영국 소설가 윌리엄 위마크 제이콥스(1863-1943)는 우리에게 조금은 낯선 인물이다. 그는 1863년 런던 근교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고 아버지가 부두 관리인이었기에 부둣가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 템스강 부두의 기억을 바탕으로 유머러스한 소설 ...
[이태상 칼럼] 우리 모든 코스미안은 우주의 축약본 한정판이다 We All Cosmians are abridged and limited edit...
2022년 4월 29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발언대] 칼럼 '서양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 필자 강자구 심장내과 전문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데카르트), ‘느낀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소암 이동식) 전자는 서양적인 것...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술이 우리를 구원한다 친구와 나는 덜 취한 술에 의지해&nb...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일을 한다. 어떤 일은 해야만 해서 하고,&nbs...
국가인권위원회는 2025년 7월 10일에 개최된 제17차 상임위원회에서 보건복지...
국립수목원은 도시 속 일상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습지의 생태적 가치와 습지식물...
왜교성 전투는 정유재란 시기 조명연합군과 일본군이 전라도 순천에서 1598년&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