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88개 (35 페이지)
[문경구 칼럼] 재미있는 정답
인생 철학에 대해 나는 아주 어린 나이 때부터 생각했다. 어린 나를 놓고 집안 어른께서는 내가 문 씨 혈통의 일원 중 하나로 이 세상이라는 나왔으니 꼼짝없이 운명대로 살아가는 거라고 하셨다. 정말 케케묵은 소리라고 하면서도 늘 풀어내지 못한...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사마귀’ 별곡別曲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의 느낌과 생각은 비슷한 것 같다. 다시 말해 길은 달라도 도달점은 같으리라는 것이다. 그래서 구약성서에서도 이런 구절이 있지 않나. 이미 있던 것이 후에 다시 있겠고, 이미 한 일을 후에 다시 할지라. 해 아래 새것...
[이태상 칼럼] 콘돔 별곡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에게서 어떤 공통점을 찾을 수는 없어도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서는 찾을 수 있다. 모두가 다 나를 웃긴다는 거다. Among those whom I like or admire, I can find no common denominator...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원초적으로 축복받은 코스미안이다
요즘 한국의 젊은 세대는 민족자존의 입장에서 중국을 바라본다는데, 이런 면에서 이데올로기에 굴절된 미국관, 중국관에서 벗어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이준석 국민의 힘 대표가 싱하이민 주한 중국대사를 접견한 자리에서 홍콩 문제를 언급한데 대해 뜨거운 댓글 성원...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행복 날개 단 코스미안이다.
최근 처제 안영순 씨로부터 카톡으로 전달받은 ‘행복 날개’를 많은 독자들과 나누고 싶어 옮겨 보리라. 장자莊子편에 풍연심風憐心이란 말이 있습니다. 바람은 마음을 부러워한다는 뜻을 지닌 내용입니다. 옛날 전설의 동물 중에 발이...
[이태상 칼럼] 우분투, 코스미안 정신 Ubuntu, The Spirit of Cosmian
얼마 전 나는 작은 처남 안병영 씨로부터 이런 이메일을 받았다. 내가 너를 위하면 너는 나 때문에 행복하고, 너 때문에 나는 두 배로 행복해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아프리카 부족에 대해서 연구 중이던 어느 인류 학자가 한 부족 아이들을 모아...
[이태상 칼럼] ‘102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의 저는 살만한데 나라가 걱정’
2021년 7월 9일 지인으로부터 받은 글 ‘102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의 저는 살만한데 나라가 걱정’이라는 글을 아래와 같이 옮겨본다. 김형석 교수는 법 이전에 양심과 도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3일 인터뷰에서 “대통령이나 정치하는 사...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탈잡초타령
2021년 7월 6일자 한국일보 뉴욕판 오피니언 칼럼 <한마디> ‘잡초’에 필자 김홍식 은퇴 의사는 이렇게 적고 있다. “무엇이 잡초이며, 그것을 누가 결정하며, 또 그것을 정리할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를 생각해봅니다. 풀들의 입장...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당 창당 발기勃起하면서
오늘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렸다. 선진 대한민국 2021-07-06 (화)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다’. 1980년대였던가. 리영희의 저서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 한때 운동권을 사로잡았...
[이태상 칼럼] 우리 모두 코스미안으로 기氣 막히고 한恨 맺힐 일 뭐가 있으랴'
2021년 7월 5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권정희(논설위원)의 세상읽기 칼럼 <내 몸 이대로 당당하게>에서 필자는 그동안 수십 년 미국 란제리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해온 빅토리아 시크릿 Victoria Secret의 아이콘인 ‘에인젤스 Ange...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사마귀 타령
2021년 7월 3일자 중앙일보 기획 기사 ‘조영남 남기고 싶은 이야기 예스터데이<18> 정직해 핍박받은 교수 잘나가던 마광수, 즐거운 사라로 버림받아 우울증’에서 조영남은 이렇게 적고 있다. “이건 순전히 내 생각이다. 선각자들은...
[이태상 칼럼] 우주인 코스미안의 행복론
“우리는 행복을 과시하는 시대에 사는 게 아닐까요?” 최근 신간 ‘완전한 행복’의 정유정 작가가 이현주(뉴시스 기자)와 가진 인터뷰(2021년 6월 25일)에서 하는 말이다. “소설 속 주인공은 자신의 인생에서 불행한 요소를...
[이태상 칼럼] 네가 보는 것이 너다 You Are What You See
오늘 2021년 7월 2일자 중앙일보 오피니언 이현상의 시시각각 칼럼 ‘싸우는 배는 돛을 접는다’에서 필자는 ‘정권 무리수가 키운 바람/그러나 바람만으론 이길 수 없다/ 구체적 언어로 각론 채워 나가야’라고 적고 있다. 더불어 민주당 대선후보...
[이태상 칼럼] 김원웅 광복회장님께 드리는 제2신
안녕하십니까.지난 2020년 8월 18일자 코스미안뉴스에 올린 제1신에 이어 오늘 2021년 7월 1일자 중앙일보 ‘소련군 해방군, 미군은 점령군’ 김원웅(광복회장) 고교생 영상 논란 기사를 보고 다시 몇 자 적습니다. 인류 역사 유사 이래 ...
[이태상 칼럼] 우주 마네킹 우형宇形과 소통하리
오늘 2021년 6월 30일자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잠망경> 필자 서량 시인-정신과 의사는 그의 칼럼 '마네킹'에 이렇게 적고 있다. “‘Mannequin마네킹’은 15세기 네덜란드어와 불어에서 ‘작은 사람 little ma...
[이태상 칼럼] 평화광狂Peacemaker이 될것인가 전쟁광狂Warmaker이 될 것인가
2021년 6월 29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타임 커버스토리'를 옮겨 본다. 우리 모두 냉철히 생각 좀 해보자고. 이승만은 2회, 전두환도 2회로 동점을 기록했다. 나머지 한국의 대통령들은 모두 1...
[이태상 칼럼] 카오스와 코스모스는 쌍태아다
오늘 2021년 6월 28일자 마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논설위원) 옥세철의 인사이드>에서 ‘붕괴 직전의 상황인가’에서 필자는 평양발로 전해지는 소식들이 심상치 않다며 “북한은 곧 붕괴될 것인가. 아무도 자신 있게 그때를 말할 수 없다. 그러나 ...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우주의 불사조 코스미안이어라
“(자신 안에 잠재해 있는) 창조력과 용기와 성공을 ‘잠금 해제’ 하려면 ‘탈진상태burnout’를 넘어서라… 경험한 바로는 내가 싫어하는 일을 할 때 이 탈진상태에 빠지게 되더라. The times that I’ve experienced burnout is...
[이태상 칼럼] 이준석 대표님에게 드리는 글
오늘 6월 26일자 한국일보에 “노무현 정신을 당 가치로”로라는 제하題下와 ‘친노까지 외연확장 나선 이준석’이란 부제副題의 기사를 보았습니다. 이준석 전 노대통령 묘소 참배 “노무현의 소탈함과 솔직함 계승 정치적으로 폄훼하는...
[이태상 칼럼] 사시사철 코스모스 피우리
만나면 언젠가는 헤어지게 되어있다는 회자정리會者定離가 세상의 이치라면 우리는 어찌 살아야 할까. 생生과 사死, 좋은 일과 궂은일이, 영속되지 않고 다 지나가는 찰나라면 우리가 그 무엇 또는 누구에게 연연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미신迷信을 보존...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십니까. 코스미안뉴스 천보현 기자입니다.&nbs...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