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24개 (172 페이지)
[제4회 코스미안상 은상] 우울증: 이 시대의 질병 강인한 의지로 극복하다
우울증이 만연한 사회다. 젊은이들은 우울증을 호소하고 있고, 자살률은 치솟고 있다. 두 현상은 상당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우울증이라는 병이 사회에 대두된 이후,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사람들이 극단적인 선택하는 ...
[김관식의 한 자루의 촛불] 아름다움의 창조, 그리고 봉사
운보 김기창 화백은 “예술이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인데, 궁극적인 아름다움은 남을 위한 봉사다.”라고 말을 했다. 예술가들이 예술 활동에 자신의 열정을 쏟아 부음으로써 아름다움을 추구하는데 헌신하는 모습이야말로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이태상의 항간세설] 컨택트(Contact)와 언택트(Untact)
코로나19가 앞으로 세상을 많이 바꿔놓을 거란 전망이다. 코로나 19 이전이 대면(對面)의 컨택트(Contact) 시대였었다면,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언택트(Untact)’ 시대가 시작되었다는 조짐(兆朕)이다. 일종의 만인과 만물과의 ‘블라인드 데이트(Blind Dat...
[하진형 칼럼] 이별 예찬(離別 禮讚)
J의 생각 속에 늘 자리하여 있었지만 막상 3~4년 앞으로 다가왔을 때 조금은 당황스럽기도 했다. 은퇴(隱退)라는 말은 알 수 없는 공연한 불안감도 데리고 온다. 그즈음에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믿었던 사람의 등까지 보게 되었으니 ...
[제4회 코스미안상 은상] 아름다운 것들Ⅰ
설레는 것이 아름답다-안 해본 일 언제부터인가 재방송 같은 일상이 반복되었다. 폭죽을 터뜨리듯 피어나던 봄꽃에 놀라는가 싶었는데 세상은 어느새 연두를 지나 초록도 짙었다. 새 달력을 거는 일도, 첫 장을 넘기는 ...
[고석근 칼럼] 지족자부(知足者富)
밖을 보는 자는 꿈을 꾸고, 안을 보는 자는 깨어난다. - 칼 융 어릴 적 또래들과 마을 앞 냇가 모래밭에서 많이 놀았다.&nb...
[제4회 코스미안상 은상] 상호작용에 대하여
우리 인간의 삶은 상호 작용의 과정이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상호 작용하면서 살아간다. 이것을 사회적 상호 작용이라고 하고, 이것은 협동 · 갈등 · 경쟁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
[민병식 칼럼] 기 드 모파상의 단편 ‘승마’를 읽고 그들만의 리그를 비판하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자연주의 작가이자 세계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단편 작가 중 하나인 기 드 모파상은 귀스타브 플로베르에게 지도를 받았고. 1880년 스승 플로베르로부터 칭찬을 받은 ‘비곗덩어리’를 발표하고 호평을 받았으며 6년에 걸쳐 집필한 첫 장편&...
[제4회 코스미안상 은상] 코로나에서도 피어난 아이들
어느덧 봄이 찾아와 새 학년 새 학기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따뜻한 봄 날씨처럼 설레는 마음으로 아이들을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잔인한 3월이 되었습니다만, 2022학년도 신...
[채수호 칼럼] 택시
택시의 기원은 지금으로부터 4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605년 영국 런던의 한 여관에서 손님에게 마부가 달린 마차를 대여하기 시작한 것이 택시의 효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차택시 서비스는 그 후 유럽 여러 나라로 퍼져나갔으며...
[제4회 코스미안상 은상] “어느 대학 출신이세요?”를 통해 본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토끼, 거북이가 같은 출발선에서 서서 결승점까지 달리기를 한다면 이것은 과연 공정할까? 동료 교사인 도덕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공정’에 대한 주제로 수업을 하면서 던진 질문이다. 놀랍게도 많은 아이들은 ‘달리면서 ...
[홍영수 칼럼] 백발공도(白髮公道), 나이 듦을 읊조리다.
어느 날 거울 앞에서 본 자신의 모습이 낯설게 느껴질 때가 있다. 특히 거울 속에 비친 나이 듦의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기도 한다. 특히 흰 머리카락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무더위와 태풍이 지나가고 벌써 상달, 10월이다. ...
[제4회 코스미안상 은상] 글 쓰는 사람들의 도덕성
요즈음에는 의학의 발달 덕분에 평균수명이 80세를 넘겼다. 하지만 수명이 그다지 길지 않았던 1970년대에도 30대에 세상을 뜬다는 것은 생을 빨리 마감하는 것이었다. 31세의 젊은 나이에 집안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인해...
[김관식의 한 자루의 촛불] 자존심
위키 백과사전에 의하면 “자존심(自尊心)은 심리학으로 자기에 대해 일반화된 긍정적인 태도이다. 자만(自慢) 등과도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자존심은 사회심리학의 자기의 개념과 관련하여 고양 또는 유지하려고 하는 태도를 말한다.”라고...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안동역에서' 제1회 김병걸 가요제 성황
한국대중가요사에 새로운 100년의 탑을 쌓는 벽돌 첫 장이 성황리에 놓여졌다. 21세기에 불어온 트로트 열풍은 1921년부터 본격적으로 불리기 시작한 <희망가>로부터 2021년까지를 한국대중가요 100년...
[이봉수 칼럼] 정치인들은 더 이상 이순신 장군을 욕되게 하지 마라
자신의 잘못된 처신으로 궁지에 몰리면 너도 나도 이순신 장군을 들먹이는 정치인들을 많이 보았다. 가장 많이 인용하는 말은 명량해전 직전에 이순신 장군이 했던 "필사즉생必死則生 필생즉사必生則死"이다. 나라와 국민이야 어찌 되건 자신의 살길만 도모하는 사람들이 이런 말을 ...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은 낙천주의자다 Cosmian is The Optimist
‘바로 잡는 옳은 방식: 왜 그 많은 아이디어가 실패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성공을 틀림없이 성취成就해 이룰 것인가 The Right It: Why So Many Ideas Fail and How to Make Sure Yours Succeed’이란 제목의 책...
[최용완 칼럼] 남대문에서 시작한 한반도 문화사 연구
1961년 9월에 서울대학교 건축과 졸업논문에 한국 전통건축의 특성에 관한 보고를 하였다. 김정수교수의 추천으로 대한민국 국보 제1호, 서울의 남대문(숭례문)의 보수 공사장에서 조원재 도편수와 함께 일하게 되었다. 김상기, 김원룡, 황수영 교수들의...
[제4회 코스미안상 금상 당선작] 일과 삶, 분리 가능성을 묻다
[당선소감] 학문 중에 가장 어려운 게 뭔 줄 아세요? 제 생각엔 인문학이요. 인간이 인간을 연구하는데 답을 찾을 리 만무하잖아요. 결국 답 없는 공부를 하는 거죠. 답 있는 공부도 못하는 머리에, 참 끔...
[고석근 칼럼] 위록지마(爲鹿指馬)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객관적인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 반대편에서는 지배를 의미할 뿐이다. - 미셸 푸코 홍길동은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했다. 왜? 힘이 없으니까. 홍길동이 아버지를 아버지라...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술이 우리를 구원한다 친구와 나는 덜 취한 술에 의지해&nb...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일을 한다. 어떤 일은 해야만 해서 하고,&nbs...
국가인권위원회는 2025년 7월 10일에 개최된 제17차 상임위원회에서 보건복지...
국립수목원은 도시 속 일상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습지의 생태적 가치와 습지식물...
왜교성 전투는 정유재란 시기 조명연합군과 일본군이 전라도 순천에서 1598년&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