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30개 (177 페이지)
[김춘식 칼럼] 독서만필
사진=코스미안뉴스 DB나의 생일파티에서였다. 며느리가 곱게 포장한 책 한 권을 건네주면서 말했다. “비록 값진 것은 아니지만 아버님이 제일 좋아하실 것 같아 이렇게 선물로 드려요. 항상 좋은 책 많이 읽고 좋은 글 많이 쓰세요.” “그래, 네가 내 마음...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북청 물장수
우리나라 서울의 상수도는 1908년 9월 1일 처음으로 통수되었다. 뚝도유원지 제1정수장이 첫 수원지. 조선 26대 임금인 동시에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 시절이다. 이곳 정수장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배관을 타고 각 가정으로 급수되었다. 하지만 이런 시설은 평지나 완경사...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그냥 저절로 도정道程 Cosmian's Path: To Each Its Own
2021년 11월 3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단상] 칼럼 '좋은 날에' 필자 박옥규 수필가는 "오랜 친구를 만나면 정겨운 것 처럼, 시냇물을 보고 있노라면 그냥 정겹다. 시냇물은 깊은 곳, 좁은 곳, 돌이 많은 곳이든, 주위를 둘러 보지 않고 흐른다....
[이태상 칼럼] 이 시대의 시대정신時代精神Zeitgeist 은 무엇인가? What's the Spirit of this Age?
2021년 11월 9일자 미주 뉴욕판 오피니언 [인사이드] 칼럼 '2022년 한국대선, 그 시대정신은---' 필자 옥세철 논설위원은 "정권교체의 여론은 압도적"이라고 이렇게 진단, 전망하고 있다."시대정신. 독일의 철학자 요한 고트프리드 헤르더가 1769년 ...
[하진형 칼럼] 이순신 정신과 리더의 덕목
사진=하진형푸른 가을하늘이 높아질 대로 높아져 겨울을 불러내고 있는 요즘, 내년 3월의 대통령선거에 출마할 주요 후보들이 정해지면서 국민들의 관심이 뜨겁다. 곧 차기 지도자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이다. 어떤 조직이든 리더의 역할은 막중하다. 그 시대의 리더에 따라 역...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경계인境界人 아닌 우주인 코스미안이다
2021년 11월 8일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삶과 생각] 칼럼 '절망과 희망 사이' 필자 김부경 수필가는 “털어봐, 아프지 않은 사람 있나, 찾아봐, 힘들지 않은 사람 있나. 물어봐, 사연 없는 사람 있나. 들어봐, 삶의 무게 없는 이 있...
[고석근 칼럼] 나는 타자다
새는 알 속에서 빠져나오려고 싸운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기를 원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헤르만 헤세 ‘대화가 부족해!’ 우리는 항상 대화에 굶주려 있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대화가 정말 대화일까? 일본의 석학 가라타...
[이태상 칼럼] 사랑은 우리 모든 우주만물 코스미안의 본성이다 Love is the Nature of Us All Cosmians, All Be...
2021년 11월 6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삶과 생각] 칼럼 '우주에서 가장 빛나는 존재' 필자 송일란은 우리 모든 코스미안의 모습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깊은 산 속이면서도 바닷가 가까이 있는 곳에서 오붓하게 캠핑을 하고 왔다. 두 시간가량 산책...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현재 진행형
안개가 머뭇거리는 이른 아침. 도로와 보도(步道)에 노란 은행잎이 수북이 깔려있다. 낙엽을 쓸고 있는 청소부가 보인다. 깨끗한 도로를 무심히 달렸기에 깨끗한 이유를 미처 생각지 못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신의 한 몸을 부지런히 움직여 거리를 청소하고 사회를 정화하는...
[민병식 칼럼] 전광용의 '꺼삐딴 리', 지금도 존재하는 그들에게 말하다
전광용(1919-1988)은 1919년 함경남도 북청 출신으로 국문학자이며 신소설을 연구하는 동시에 평생을 교육계에 몸 바친 분이다. 1955년 조선일보에 단편 '흑산도'가 당선되면서 문단에 데뷔하였고, 1962년에 시대가 바뀜에 따라 권력에 아부하며 카멜레...
[이태상 칼럼] 새 지구촌 운동 - 코스미안 프로젝트New Global Momvement: - Cosmian Projects
2021년 11월 5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발언대] 칼럼‘역사의 흐름인가’ 필자 이영묵 작가는 이렇게 칼럼 글을 맺고 있다.“한국의 집권층 특히 586세대를 흘겨본다고 할지 모르겠으나 현 집...
[문경구 칼럼] 사팔뜨기 저승사자
창밖을 오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서로 다른 모습처럼 그들의 삶의 양식도 모두 다르다. 한 뱃속에서 나온 형제들도 성격 취미 심지어는 팔자관도 모두 다르다는 걸 믿고 살아간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들여다볼 수 없는 팔자라고 하는 속궁합은 그대로인데 겉으로 느껴야 ...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 사랑의 진상 眞相/眞像/眞想 Cosmian True Love
2021년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살며, 느끼며] 칼럼 - ‘마코의 사랑’ 필자 민병임 논설위원은 “마코는 2017년 약혼소식을 전하면서 “태양처럼 밝게 웃는 그의 미소에 끌렸...
[김희봉 칼럼] 다이옥신 삼겹살
메디아는 희랍 신화에 나오는 마술사다. 그녀는 신출 기묘한 마술로 악령을 물리치고 남편을 영웅으로 만든 여장부였다. 또한 죽어가는 시아버지 피를 마술로 갈아 회춘시킨 효부이기도 했다. 그런데 성공한 남편은 배은망덕하게도 메디아를 버리고 왕녀에게 새 장가를 간...
[이태상 칼럼] '단절' 극복할 '연결' '사랑'밖에 없어라
2021년 11월 3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인사이드] 칼럼 '사회적 단절' 필자 여주영 고문은 이렇게 칼럼 글을 맺고 있다. "로마인들은 교량은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상징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끊어진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다리를 놓아 융성...
[사설] 코로나19 먹는 치료제가 가져올 파장
코로나19를 종식시킬 게임체인저가 등장했다. 화이자가 개발한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이자는 이 치료제가 입원 및 사망 확률을 89% 줄여 준다고 했고, 예상보다 효능이 좋아 곧바로 미 식품의약국(FDA)에 사용 승인을 신청할 ...
[하진형 칼럼] 희망이는 희망 있다
사진=하진형배달통을 장착한 오토바이가 배달을 마치고 과일가게 앞에 도착하자 과일 상자 곁에 앉아 있던 희망이가 꼬리를 흔들며 아저씨를 마중한다. 큰 도로 앞에서 과일가게를 하던 아저씨는 예전부터 강아지를 무척 좋아했다. 특히 버려진 강아지를 거두어 키우...
[이태상 칼럼] 아름다워라, 코스미안은 Cosmian, Beautiful Cosmian
2021년 11월 1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Opinion [글로벌 아이] 칼럼 '한국 여행을 준비하는 사람들' 필자 이영희 도쿄특파원은 "양국간 관광 격차도 사라지는 시대, ‘랜선 한국’이 아닌 진짜 한국을 보여주기 위한 준비를 시작해야 할 때가 온 것 ...
[고석근 칼럼] 산다는 것은
사람들은 우리 인간이 궁극적으로 찾고자 하는 것은 삶의 의미라고 말하지만 진실로 찾는 것은 살아 있음의 경험이다.- 조셉 캠벨 한 초등학교 교장이 여교사 화장실에 불법 촬영 카메라를 설치해 경찰에 긴급 체포됐다고 한다. 체포되는 순간, 그 교장은 자신이 ...
[이태상 칼럼] 변질된 '사랑의 전설'
2021년 10월 22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권정희의 세상읽기] 칼럼 '그 열차 안에서 너라면 어떻게 했을까' 필자 권정희 논설위원은 이렇게 묻고 있다.총탄에 맞아 몸이 꺾이는 병사, 격랑에 ...
Opinio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경상우수영 가배랑진성을 답사 중인 거제이순신학교 제1기 수강생들 거제이순신학교 제...
[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n...
청소년 시절 셰익스피어의 ‘오셀로(1565)’를 읽다가 그 작품 속의 주...
‘신(神)들의 벗, 해민(海民)의 빛’을 주제로 삼은 이번 축제는 탐라의 뿌리와...
안녕하세요. 김수아입니다. 시는 상처 난 마음을 섬세하게 봉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