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30개 (177 페이지)
[김희봉의 삶의 향기] 코카서스의 달
코카서스에 달이 뜬다. 러시아의 지붕인 코카서스 산맥. 만년설을 인 연봉 사이로 눈썹 같은 그믐달이 뜬다. 우크라이나와 슬라브족의 자존심 같은 코카서스 최고봉 엘부르스. 유럽 최정상으로 알프스의 몽블랑 보다 무려 3천피트나 더 높다. 러시아 양대 산맥 중, ...
[이태상 칼럼] 어떤 삶이 코스미안의 삶일까
“오늘 새벽하늘에 떠 있는 둥근 달이 유난히 밝았습니다. 겨울 하늘에 또렷이 빛나는 별들도 반가웠고, 우리 집 뒷 마당에 와서 반갑다고 내게 먼저 굿모닝을 하듯 조잘대는 새들도 사랑스러웠습니다. 있는 그대로, 생긴 그대로, 이해하고, 고맙고, 애잔하고, 지켜...
[민병식 칼럼] 소설 '나나'에서 '에밀 졸라'가 말하는 청렴의 의미
'목로주점','제르미날', '인간 짐승'과 더불어 졸라의 작품 중에서 가장 큰 대중적 성공을 거둔 4대 역작 중 하나인 '나나'는 '루공 마카르 총서'의 제9권으로 1880년에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화류계의 생활상과 그곳에 몸담은 사람들의 방탕하고 무분별한...
[사설] 코로나19 집단최면에 걸린 대한민국
코로나19가 장기간 대유행을 이어가자 여기저기서 '코로나 블루(Corona Blue)'로 우울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경제적 피해가 큰 자영업자들과 감수성이 강한 2030세대들 중에 이런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인다. 엄격한 사회적 거리두...
[문경구 칼럼] 영구는 없다
오뉴월, 그 좋은 계절 속 화초도 옮겨 심으면 주접이 드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이 살던 집터를 옮겨간다는 것은 내렸던 뿌리를 거두고 다시 새 자리에서 뿌리를 내려야 하는 일이니 그럴만하다. 조상님의 허락도 받아야 한다는 이사하는 일이 지금은 전화 한 통화에 잽...
[이태상 칼럼] 귀향송(歸鄕誦)
“사람들은 내게 묻지요. 어떤 유산을 남길 것이냐고, 내가 밟은 땅 속에 내가 떠난 다음에도 어떤 뿌리가 남아 있길 바라느냐고. 서툴렀지만 그런대로 많이 사랑했다는 자부심(自負心)을 갖고 (우주)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내가 마치 온 인류를 내 가슴에 품...
[이태상 칼럼] 무위자연(無爲自然)/무위이화(無爲而化)의 무위지도(無爲之道)가 코스미안의 길이리
1. 무위자연(無爲自然)/ 무이이화(無爲而化)/ 무위지도 (無爲之道) LET IT BE/ LET IT GO안 좋았든 어제 일을 생각하느라 오늘을 망치지 말라. (Never run a good day by thinking about a bad yesterday...
[문용대 칼럼] 송구영신(送舊迎新)
해마다 새해가 오면 송구영신(送舊迎新)을 하게 된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한다는 의미다. 지난해를 되돌아보고 새해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 생각해 본다. 지난해는 누구나 예년과 달리 힘들게 보냈다. 나는 미력하나마 1천여 명이...
[정홍택 칼럼] '심심이' 동생은 '삼삼이'
정월 초하룻날,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던 지인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e-mail Card가 내 컴퓨터에 떴다. e-mail Card 제목: 心心心 내용 : Happy new year 그리고 아래와 같은 사진이 첨부되어 있었다....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문학과 훈장과 아우라
이번 겨울을 모처럼 겨울답게 느꼈다. 며칠 동안 영하 20도 안팎의 날들을 보내면서 자연스레 군 복무 시절의 혹한을 떠올리게 되었다. 젊은 시절 한번은 경험할 일이라서 일부러 눈이 많이 오는 추운 전방지역에 근무를 자원했다. 겨울이면 거대한 산맥을 넘어오는 강풍이 주체...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취화선(醉畵仙), 취아선(醉我仙), 코스미안이어라
“제일 먼저 나 자신에게 감사하고 그 다음 심사위원들에게 감사드린다.” 이 말은 지난 2002년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에서 ‘과거가 없는 남자’(The Man Without a Past)로 심사위원 대상을 받은 핀란드 감독 아키 카우리스마키(Aki Kauris...
[이태상 칼럼] A Tribute to Ms. Angelina Jolie
A Tribute to Ms. Angelina JolieLee Tae-SangDear Ms. Angelina Jolie, As a fellow human, or rather cosmic being, I couldn’t agree with y...
[민병식 칼럼] 러시아 작가 ‘니콜라이 고골‘의 '외투'가 우리에게 촉구하는 것
니콜라이 고골은 19세기 서구 근대 문명이 유입되면서 많은 혼돈을 겪고 있던 제정 러시아 시대의 사회상을 사실적, ...
[문경구 칼럼] 수남이와 복길이
봄을 기다리며 겨우내 묵었던 생각들을 비우니 날아갈 듯이 마음이 가볍다. 겨울의 무게만큼 머물렀던 후회도 변명도 따라 비워져 가벼운 몸으로 날아서 마켓도 다녀올 수 있을 것 같다. 그동안 몸이 아팠던 생각조차도 버리고 나니 마음은 이차원의 세상 같다. 세상이...
[이태상 칼럼] A Tribute to Poet Laureate Amanda Gorman
A Tribute to Poet Laureate Amanda Gorman Dear Ms. Amanda Gorman, As a fellow human, or rather cosmic being, you were...
[문용대 칼럼] 나는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한 해가 저물었다. 지난해를 돌이켜 보며 새해를 맞이했다. SNS를 통해 신나는 음악 동영상을 주고받고 안부나 덕담을 나눈다. 겪어보지 못했던 ‘코로나 19’ 탓으로 바깥활동이 부자유스러워서인지 신나는 음악이 끌린다. 덕담 중에는 건강이 단연 화두다. 우연히...
[정홍택 칼럼] 인생아, 너는 무엇이냐?
어렸을 때 이불 속에서 할머니에게서 들었을까, 초등학교 때 엄마가 읽어 준 동화일까. 줄거리가 생각날 듯 말듯 가물가물하지만, 나의 상상력으로 한 번 풀어볼까 한다. 옛날 아주 옛날, 산은 푸르게 높고 골은 한없이 깊은 숲속에 하얀 산이 삐쭉...
[이태상 칼럼] A Tribute to U.S.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A Tribute to U.S.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Dear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As a fellow human,...
[민병식 칼럼] 토마스 하디의 '이름 없는 주드'에서 보는 도덕성 회복의 의무
당대 영국의 도서관에 금서로 지정되었던 토마스 하디의 1895년 작으로 그의 마지막 소설이다. 무명의 주드, 비운의 주드,&...
[문경구 칼럼] 축복받는 순간들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일은 분명 하루하루가 축복을 받은 일이다. 그것을 자꾸 잊고 사는 나를 늘 깨닫게 하는 친구가 내게 있다는 것은 나에게도 분명 축복인 것이다. 여러 가지 축복 중에 가장 큰, 축복 속의 축복은 자식이 되어 부모와 함께 살아 숨 쉬는 순간들...
Opinio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n...
청소년 시절 셰익스피어의 ‘오셀로(1565)’를 읽다가 그 작품 속의 주...
‘신(神)들의 벗, 해민(海民)의 빛’을 주제로 삼은 이번 축제는 탐라의 뿌리와...
안녕하세요. 김수아입니다. 시는 상처 난 마음을 섬세하게 봉합...
이순신 장군의 죽음으로 노량해전에서 멈춘 난중일기그 소중한 국가적 유산이 한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