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13개 (131 페이지)
[김용필의 인문여행] 일본의 한국 문화재 약탈
1. 일본의 한국 문화재 약탈 일본의 전 국토, 모든 가정을 방문해보면 낯익은 물건이 하나씩 있다. 정원과 공원, 일본 문화재 박물관까지 한국에서 약탈한 문화재로 채워져 있다. 일본 문화의 주류는 약탈 문화와 모방 문화로 되어있어서 알고 보면 일본이란 정...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은 낙천주의자樂天主義者다 Cosmian is The Optimist ( II ): 허깨비 굿타령을 졸업하자
그대 앞에만 서면 나는 왜 작아지는가’ 트로트 가수 김수희가 불러 히트한 노래다. 이 가사를 노벨상을 비롯한 모든 상에 적용해보자. 지난 2018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되고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선정하지 않기로 했다는 비보...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아카시아 향에 스미다
사진=신연강해지는 저녁 향긋한 내음이 코끝을 스칩니다. 아스라한 향입니다. 잊혔던 향이 문득 되살아 기억을 거슬러 오릅니다. 오늘처럼, 바람이 담장 위에서 감나무 잎을 흔들며 놀고 있는 날에도, 그 향기는 눈을 틔우고 코를 간질이며 가슴에 들어옵니다. 요즘처럼 마스크를...
[문경구 칼럼] 선녀와 나무꾼
예로부터 우리 집안에 이어져 내려온 구전들을 나는 아름다운 가족사로 여겼다. 두레박을 타고 하늘로 올라간 선녀와 나무꾼의 재미있는 사랑 이야기 등 수 많은 구전이 있었다. 그중 하나로 서울 동대문역에서 기동차를 타고 광나루에서 내려 나룻배로 한강을 건너 뚝섬...
[이경수 칼럼] 타워크레인 붐 학교 침범... 원인은 돈이다
타워크레인은 가동 상태가 아닐 땐 강한 바람이 불 것에 대비하여 회전 브레이크를 해제시켜 놓아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타워크레인이 바람에 버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붐이 부러지거나 옆으로 쓰러지는 사고가 종종 생기곤 한다. 지난 12일 충북 충주의 한 중학교...
[민병식 칼럼] 아동 문학가 ‘폴 빌라드’의 ‘안내를 부탁합니다’에서 배우는 이해와 배려의 삶
미국의 아동문학가 폴 빌라드는 순수한 아동의 심리세계를 진실하게 묘사하여 참된 사랑의 교훈을 깨닫게 하는 작품, 사랑, 배려, 이해의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작품을 썼다. 주요 작품에 '이해의 선물', '안내를 부탁합니다' 등이 있고 공학자...
[이경수 칼럼] 왜 그랬을까
얼마 전 홍콩 매체 빈과일보는 중국 광둥성 둥광의 한 영화관에서 어린 소년이 대형 스크린을 발로 걷어차는 등 손상을 입혔다고 보도했다. 지난 1일 이 소년은 가족과 해당 영화관에서 '베어 보이'라는 영화를 관람했다. 문제는 영화 상영 이후 이 소년이 엔딩 크...
[문경구 칼럼] 별밭에서
밤하늘에 보석처럼 박힌 별밭에는 내가 걸어온 길이 있다. 나는 그 별들이 밝혀주는 빛을 따라 길을 걸어 지금에 와 있다. 해마다 갤러리들이 펼치는 새로운 작품들을 감상하러 일 년에 봄, 가을 두 번의 일정으로 찾아가는 캘리포니아, 북가주 바닷가 도시 카멜에 ...
[정홍택 칼럼] 나는 왜 이 사진을 찍었는가
세상에 좋은 글을 쓰는 사람들은 많이 있지만 한 마디로 인생을 구수하게 기술한 명인은 그리 많지 않을 듯하다. 그중에 내가 제일 좋아하는 명문은 아일랜드의 작가 버나드 쇼 묘비명이다. “우물쭈물하며 살더니 내 이럴 줄 알았지!” 전에도 이 촌철살인의 글을 만...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서울의 찬가
눈에 보이지 않는 소리에 선율과 리듬을 얹으면 감성 공간이 채워진다. 이것은 삶의 보이지 않는 면면을 대변하고 비우고 채우는 감흥 산책(散策)의 과정이 되기도 한다. 이것이 노래의 마력(魔力)이다. 마력은 매력(魅力)을 능가하는 힘이 있다. 음악의 상징적 활용은 한비자...
[신연강의 인문학으로 바라보는 세상] 놀람, 울림 그리고 ‘욕망’이라는 전차
‘욕망’이라는 전차가 곳곳을 돌아다닌다. 시대에 따라 시류에 따라, 욕망이라는 전차도 그 외양과 속성을 바꾸고 진화하면서 주변을 배회한다. 욕망과 전차라는 단어를 접하니 오래전에 읽었던 테네시 윌리엄스Tennessee Williams의 ‘욕망이라는 이름...
[김은영 칼럼] 충(蟲), 균(菌), 바이러스
충(蟲)이라고 하면 연상되는 별로 즐겁지 않은 기억이 떠오른다. 국민학교 때 기생충검사를 위해 대변채취에 대한 기억이다. 한자(漢字)어 충(蟲)도 징그러운 벌레 모양의 충(䖝)이 세 개나 모여있다. 한의학에서 성경처럼 신봉하는 의서 동의보감에서는 내경 편에 ...
[민병식 칼럼]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에서 보는 이 시대의 청소년
이 작품은 헤르만 헤세(1877~1962)의 청소년기 시절 체험들이 곳곳에 가득 담겨 있는 성장 소설이다. 1877년 독일 남부 뷔르템베르크주의 소도시 ‘칼프’에서 태어난 헤세는 그 자신 역시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주 시험에 합격하여 1891년 마울브론 신학...
[최용완 칼럼] 인류 문화와 문명의 시작
지구상에 사람들이 모여 사는 모습을 정신적인 부분은 문화라고 부르고 물질적인 부분을 문명이라고 일컫는다. 현대인류가 10여 만 년 전에 해 뜨는 동쪽으로 아프리카를 떠나 바닷길 따라 전 세계로 분포되며 끊임없는 성장을 계속해왔다. 문화와 문명은 인류의 생활능력에서 시작...
[김용필의 인문학여행] 카일라스로 가는 이유
동서양 사람 누구나 살아생전 카일라스(수미산)에 한 번 오르는 것이 소망이다. 그곳은 지상과 천상의 낙원이며 안락한 사후 세계를 약속받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에 고행을 두려워하지 않고 카일라스로 가는 것이다. 6,000m 고원의 정상을 향하여 힌두교, 불교,...
[문경구 칼럼] 봄의 교향곡
아침 뉴스를 진행하는 앵커 뒤로 비치는 스튜디오 창밖 풍경은 싱그러운 농촌의 전원을 도심 한복판에 그대로 가져다 놓은 모습이다. 다발로 묶어낸 풋풋한 농부의 손길처럼 금방이라도 모판에 담긴 푸릇푸릇한 벼 모종들이 던져질 것 같다. 유리창을 ...
[김희봉 칼럼] 새야 새야 파랑새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 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전라도 정읍 땅의 황토재. 녹두장군 전봉준이 이끄는 농민들이 부패했던 관군들을 쳐부쉈던 격전지다. 사기충천한 동학민들은 죽창을 들고 공주성을 치올라 가...
[이태상 칼럼] 지구 자체가 세월호가 안 되려면
현재 창궐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과 악화일로에 있는 기후 변화는 물론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과 분쟁 등 이 모든 것이 인재재난(人災災難)이 아닌가. 그렇다면 이 지구별 자체가 ‘세월호’처럼 침몰하지 않으려면 그 어떤 미봉책彌縫策으...
[정홍택 칼럼] 아라비아 숫자 0 이야기
아마 요즘처럼 사람들이 만나면 돈 이야기를 많이 하던 때는 과거에 없었을 것이다. 서민들은 몇십 쎈트를 아끼기 위해 할인쿠폰을 가위로 잘라 지갑에 넣고 쇼핑을 하는데 매스컴에서 흘러나오는 월가의 뉴스는 그야말로 별세계 이야기를 듣는 것 같다. 임원들의 연봉은...
[민병식 칼럼]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에서 보는 우리 시대의 자화상
이 작품은 일본 작가 다자이 오사무가 쓴 자전적 소설로 국내를 비롯한 작가의 출생지인 일본에서 베스트셀러일 만큼 많이 팔린 책이다. 일본 데카당스 문학의 대표작가로 꼽히는 다자이 오사무의 대표작, 3회에 걸쳐 잡지에 연재한 소설로, 마지막 회가 게재되기 직전...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탁월한 파괴자 싸구려 지식의 호객행위 같은불온한 충고 따위는...
이청준(1939-) 소설가는 전라남도 장흥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
8월 7일(목)부터 10일(일)까지 코엑스 디(D)홀에서&nb...
오키나와 블루(Blue) 섬으로 가는 것은...
방사개체 출생당시 모습(2024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붉은여우의 복원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