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30개 (177 페이지)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도시를 생각하다-서울
정석 교수의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는 한번쯤 꼭 읽어보길 권한다. 이 책에는 다른 도시개발 관련 서적에서 볼 수 없는 ‘도시개발’과 ‘도시재생’에 관한 특별한 생각이 보인다. 도시개발에 관한 깊은 통찰과 차분한 생각을 전하면서도 인간 삶에 기초한 도시...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에레나가 된 순이
우리 근현대사에 매달린 통속 은어(隱語) 비어(鄙語)들에 아물린 대중가요 유행가를 되새김해보면, 나라와 민족의 아픈 역사 마디미디와 일그러진 흉터를 헤아려 볼 수가 있다. 6.25 전쟁 끝자락에 탄생한 <에레나가 된 순이>가 이런 곡조의 백미(白眉)다. 북한...
[고석근 칼럼] 시간
광채 없는 삶의 하루하루에 있어서는 시간이 우리를 떠메고 간다. - 알베르 카뮈 아르헨티나의 소설가이자 시인인 보르헤스의 소설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
[민병식 칼럼] 임철우 작가의 '사평역에서'를 통해 보는 톱밥과 난로의 역할
임철우 소설가는 전남 완도 출생으로 전남대 영문과 및 서강대 대학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8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개 도둑’이 당선되어 등단하였고 서정적인 문체로 이야기를 엮는 특징이 있다고 평가되며 현실의 왜곡된 삶의 실상을 통하여 인간의 절대적 존재...
[이태상 칼럼] 두 괴물 Two Monsters
2022년 6월 12일자 뉴욕타임스 일요판 평론 섹션 Sunday Review 오피니언 칼럼 '트럼프, 아메리카의 괴물 Trump, American Monster' 필자 모린 다우드 Maureen Dowd는 이렇게 적고 있다. 지...
[홍영수 칼럼] (물음느낌표 Interrobang), 창조와 상상력의 원동력
2002년도 나의 비망록 표지에 보면 이렇게 적혀 있다. 질문-탐구(탐색)-해답(質問-探究(探索)-解答), 의문-관찰(관심)-발견(疑問-觀察(關心)-發見). 이 말은 평소 독서를 하거나 상념에 잡혀 있을 때, 또는 무념무상. 멍때리고 있을 때 등, 그때 그순간에 떠오르...
남해 왕지(旺池)마을 이야기
사진=윤문기왕지(旺池)는 왕성할 왕(旺), 못 지(池) 자를 쓴다. 우리 어릴 적에는 태조 이성계가 남해 금산에서 왕이 되게 해 달라는 기도하고 왕지마을을 지나갔다. 그 이후 ‘왕이 지나간 마을’이라고 해서 ‘왕지’라고 했다는 말을 듣고 자랐다. 그런...
[김관식의 한 자루의 촛불] 교원의 품위유지
교사는 법적으로 헌법에 의해 기본권을 보장을 받고 공공업무담당자의 신분이 있으므로 국가공무원법에 준한 법적 제재를 받게 된다. 따라서 교육자라는 신분에 의해 교육공무원법에 구속을 받는다. 법규상 공무원법 “공무원은 직무의 내외를 불문하고 그 품위를 손상하는...
[이태상 칼럼] 동심송童心頌
2022년 6월 16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삶의 뜨락에서] 칼럼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필자 이춘희 시인은 "자연을 거스르며 자연의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어떠한 세상을 꿈꾸고 있는 것일까?" 묻고 있다.[삶의 뜨락에...
[하진형 칼럼] 고맙소? 고맙소!
사진=하진형두어 해 전 어느 TV방송사에서 ‘트로트 경연 프로그램’ 방송을 내보낸 것이 계기가 된 후 근래에 보기 드물게 트로트의 인기는 계속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뒤흔들고 개인들의 이동은 물론 국가 간 수출입 등 경제활동도 꽁꽁 묶었다. 그 여파...
[고석근 칼럼] 건강이 최고야!
현명한 자는 건강을 인간의 가장 큰 축복으로 여기고, 아플 땐 병으로부터 혜택을 얻어낼 방법을 스스로 생각하여 배워야 한다. - 히포크라테스 ‘건강이 최고야!’ ‘건강만 하면 뭐가 걱정이야?’ 우리는 이런 말을 무수히 듣는다. 수명이 길...
[민병식 칼럼] 이문구의 '유자소전'에서 보는 이 시대의 성인은 누구인가
이문구(1941-2003) 작가는 충남 보령 출신으로 부친이 남로당 보령지역총책이었던 까닭에 한국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부친과 둘째, 셋째 형을 잃고 평탄하지만은 않은 삶을 살았다.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입학하여 김동리 선생에게 배웠고, 경기도 화성군 ...
[김용필 인문학 여행] 훈제국 영웅 아틸라는 고구려인
1. 로마를 뒤흔든 훈제국의 영웅 아틸라는 고구려인이다. 고구려 기병대와 로마 기병대가 전투한다면 누가 이길까? 고구려 기병대가 이긴다. 실제 전투에서 아틸라의 고구려 기병대가 로마군단을 이겼다. 5세기 아틸라는 신의 채찍을 들고 로마제국을 위협하...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 칸초네 Cosmian Canzone
칸초네(이탈리아어: canzone)라는 말은 한국어로는 ‘노래’이고, 프랑스어로는 ‘샹송’이다. 이탈리아가 예로부터 노래의 나라로 불리고 있듯이, 이탈리아 사람만큼 소리높여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는 인종도 없을 것이...
[홍영수 칼럼] 생각을 울리자, 한울림의 종소리처럼
어렸을 적, 자그마한 시골 동네에서 자랐다. 그리고 초, 중학교 때까지 면 소재지와 읍내로 통학했었다. 그 시절, 지금까지 유난히 기억에 남아 언뜻언뜻 떠올려지는 것이 있다. 밤 12시 되면 높은 뒷산 너머의 읍내에서 통행금지의 사이렌 소리가 고적한 산골 동네까지 들려...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여름이 온다고요
여름을 좋아하는 사람. 여름이 온다고 아이처럼 들뜬 작가가 있다. 그는 조지 거슈인(George Gershwin)의 ‘섬머타임’을 인용하며 여름의 문을 연다. 여름이란다. 그리고 삶은 평온하지. 물고기는 뛰어오르고 목화는 잘 자랐다네. 오, 아빠는 부...
[김관식의 한 자루의 촛불] 유능한 관리자의 능력과 자세
멧신 돌턴 외 2인의 저서 『글로벌 리더십』에 의하면 유능한 매니저의 다섯 가지 필수 경영 능력으로 사람관리 능력, 실행관리 능력, 정보관리 능력, 문제대처 능력, 핵심 비즈니스 지식 등을 꼽고 있다. 사람관리 능력이란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해서 최선의 업무결과를 이...
[이태상 칼럼] 천국과 지옥
"정신(마음)이 제 집이고, 그 자체로서 지옥을 천국으로, 천국을 지옥으로 만들 수가 있다. The mind is its own place, and in itself Can make a Heaven of Hell, a Hell of...
[하진형 칼럼] 단비는 기다림이다
개구리들의 합창 소리가 여느 때 보다 힘차다. 낙숫물 소리도 더 넓게 퍼져나간다. 늦은 밤 내리다가 가로등 빛에 들킨 비도 기분 좋게 흩날린다. 아스팔트에서 춤추던 빗물이 차의 전조등 앞에서 더 큰 춤사위를 이어간다. 시골길 시내버스 안에는 두어 명이 앉아 편안히 졸고...
[최규성 칼럼] 인명풀이 천일창(天日槍)
신라왕자 ‘천일창(天日槍)’은 『일본서기』에 실려있는 이름이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천일창(天日槍)’은 실존인물이 아니라 가공의 인물일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많은 연구자들이 『삼국유사』에 나오는 연오랑세오녀(延烏郞細烏女) ...
Opinio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경상우수영 가배랑진성을 답사 중인 거제이순신학교 제1기 수강생들 거제이순신학교 제...
[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n...
청소년 시절 셰익스피어의 ‘오셀로(1565)’를 읽다가 그 작품 속의 주...
‘신(神)들의 벗, 해민(海民)의 빛’을 주제로 삼은 이번 축제는 탐라의 뿌리와...
안녕하세요. 김수아입니다. 시는 상처 난 마음을 섬세하게 봉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