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11개 (131 페이지)
[민병식 칼럼] 셔우드 앤더슨의 단편 '숲속의 죽음'을 통해 보는 대안적 낭만주의
셔우드 앤더슨(1876~1941)은 1920년대 주로 활동하였고 헤밍웨이 등의 세대에 큰 영향을 준 미국 소설가로 단편소설을 플롯 중심의 종래 방식에서 해방시켰고, 청교도 풍의 금욕주의에 반대하여 인간을 육체 면에서 바라보았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이 중에...
[김은영 칼럼] 청어
겨울에 갓 잡은 청어를 숯불에 구워 먹는 맛을 아는가? 기름이 잘잘 흐르는 껍질 속에 도톰한 살점,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입에 살살 녹는다. 겨울이 산란기로 볼록한 배속의 알 또한 톡톡 입안에서 터지는 그 감촉이 별미이다. 등뼈로부터 가지를 쳐서 내려오는...
[문경구 칼럼] 줄탁동시
만약에 사람이 매일 매일 새롭게 태어난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무리 성스러운 성전에서도 그렇게는 이루어질 수 없을 거다. 어제의 노동 속에서 빚어진 노곤함과 사람들과 얽힌 이해관계를 털어버리고 오늘 새롭게 시작하고 싶다. 이 새로운 시작은 모두의 바람일 거다....
[홍용석의 인생 이모작] 참당귀, 최종 작품이 나오다
사진=코스미안뉴스시인 서정주는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가 그렇게 울었다고 했지만, 저는 참당귀 제품 하나를 만들기 위해 지난 해 봄부터 겨울까지 참당귀와 씨름했습니다. 모종을 식재하고 기르고 수확하고 세척하고 잘게 썰고 건조시키고 포장해서 최종 작품...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1972 민비
트로트 열풍의 블랙홀이 생겨났다. 머리를 뜨겁게 하는 재미와 가슴을 데워주는 흥미 위주의 기획과 연출 파장(波長)이다. 인류학적인 의미와 장르 승화 측면의 징검다리는 어디에서 찾을꼬. 국악·팝·개그·뮤지컬 등 정통 길을 지향하던 가수들이 트로트 경연 대열로 ...
[정홍택 칼럼] 새해 첫날 읽는 시 한 수
새해 첫날 읽는 시 한 수 작년에도 수확이 풍성했습니다. 제 스크랩 북이 꽉 차도록 좋은 글들을 모았거든요. 그중에 정월 초하루 여러 친구들과 같이 읽으려고 따로 떼어놓은 시 한 수가 있습니다. 같이 감상하겠습니다. &n...
[민병식 칼럼] 나다니엘 호손의 '거대한 석류석'에서 깨닫는 진정한 행복
나다니엘 호손의 단편집인 '다시 들려준 이야기'는 총 7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손의 처녀작인 팬쇼(Fanshawe, A Tale,1828) 이후 두 번째 발표된 책으로 익명으로 출간되었으며, 상업적으로 실패하여 호손 자신조...
[문경구 칼럼] 불나비는 알고 있다
내가 기억하는 한국에서의 풍경 중에 해마다 음력 정월, 동지가 되면 무속인들이 바빠지는 것을 보게 된다. 묵은 해의 궂은 일들을 보내고 새해 대운의 신을 맞는 축제인 거다. 그 즈음이면 나는 마치 한국전통 무속신앙을 연구하는 학자가 되어 떠나곤 했다. 재미있...
[최용완 칼럼] 한반도 민족과 인류의 미래
한반도 민족은 찬란한 문화를 가진 민족이다. 홍익인간(弘益人間: Millenarianism)은 대한민국의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라”는 비공식적인 국시로 알려졌다. 세계 최초의 나라로 여겨지는 고조선(4,500-108 BC)의 건국신화에서 환웅(桓雄)이 인간 세상...
[전승선 칼럼] 하필과 어차피
인생 별것 아니라고 자책하고 낙심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필 가난해서 하필 아파서 하필 공부를 못해서라며 ‘하필’에게 핑계를 댄다. 그렇게 핑계를 대면 인생이 좀 위로가 되는가. 그래서 살림살이 좋아졌는가. 자꾸 핑계 대고 자책하면 ‘하필’과 친구인...
[김희봉의 삶의 향기] 코카서스의 달
코카서스에 달이 뜬다. 러시아의 지붕인 코카서스 산맥. 만년설을 인 연봉 사이로 눈썹 같은 그믐달이 뜬다. 우크라이나와 슬라브족의 자존심 같은 코카서스 최고봉 엘부르스. 유럽 최정상으로 알프스의 몽블랑 보다 무려 3천피트나 더 높다. 러시아 양대 산맥 중, ...
[이태상 칼럼] 어떤 삶이 코스미안의 삶일까
“오늘 새벽하늘에 떠 있는 둥근 달이 유난히 밝았습니다. 겨울 하늘에 또렷이 빛나는 별들도 반가웠고, 우리 집 뒷 마당에 와서 반갑다고 내게 먼저 굿모닝을 하듯 조잘대는 새들도 사랑스러웠습니다. 있는 그대로, 생긴 그대로, 이해하고, 고맙고, 애잔하고, 지켜...
[민병식 칼럼] 소설 '나나'에서 '에밀 졸라'가 말하는 청렴의 의미
'목로주점','제르미날', '인간 짐승'과 더불어 졸라의 작품 중에서 가장 큰 대중적 성공을 거둔 4대 역작 중 하나인 '나나'는 '루공 마카르 총서'의 제9권으로 1880년에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화류계의 생활상과 그곳에 몸담은 사람들의 방탕하고 무분별한...
[문경구 칼럼] 영구는 없다
오뉴월, 그 좋은 계절 속 화초도 옮겨 심으면 주접이 드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이 살던 집터를 옮겨간다는 것은 내렸던 뿌리를 거두고 다시 새 자리에서 뿌리를 내려야 하는 일이니 그럴만하다. 조상님의 허락도 받아야 한다는 이사하는 일이 지금은 전화 한 통화에 잽...
[문용대 칼럼] 송구영신(送舊迎新)
해마다 새해가 오면 송구영신(送舊迎新)을 하게 된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한다는 의미다. 지난해를 되돌아보고 새해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 생각해 본다. 지난해는 누구나 예년과 달리 힘들게 보냈다. 나는 미력하나마 1천여 명이...
[정홍택 칼럼] '심심이' 동생은 '삼삼이'
정월 초하룻날,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던 지인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e-mail Card가 내 컴퓨터에 떴다. e-mail Card 제목: 心心心 내용 : Happy new year 그리고 아래와 같은 사진이 첨부되어 있었다....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문학과 훈장과 아우라
이번 겨울을 모처럼 겨울답게 느꼈다. 며칠 동안 영하 20도 안팎의 날들을 보내면서 자연스레 군 복무 시절의 혹한을 떠올리게 되었다. 젊은 시절 한번은 경험할 일이라서 일부러 눈이 많이 오는 추운 전방지역에 근무를 자원했다. 겨울이면 거대한 산맥을 넘어오는 강풍이 주체...
[이태상 칼럼] A Tribute to Ms. Angelina Jolie
A Tribute to Ms. Angelina JolieLee Tae-SangDear Ms. Angelina Jolie, As a fellow human, or rather cosmic being, I couldn’t agree with y...
[민병식 칼럼] 러시아 작가 ‘니콜라이 고골‘의 '외투'가 우리에게 촉구하는 것
니콜라이 고골은 19세기 서구 근대 문명이 유입되면서 많은 혼돈을 겪고 있던 제정 러시아 시대의 사회상을 사실적, ...
[문경구 칼럼] 수남이와 복길이
봄을 기다리며 겨우내 묵었던 생각들을 비우니 날아갈 듯이 마음이 가볍다. 겨울의 무게만큼 머물렀던 후회도 변명도 따라 비워져 가벼운 몸으로 날아서 마켓도 다녀올 수 있을 것 같다. 그동안 몸이 아팠던 생각조차도 버리고 나니 마음은 이차원의 세상 같다. 세상이...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안녕하세요. 강라희입니다. 과부하 걸린 뇌는 달콤한 설탕을 원...
서재의 책꽂이에 꽂혀있는 책을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해야겠다는 마음 먹고 책을 정리하는데 ...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2025년 7월 23일, 해군...
가족과 함께 또는 연인과 함께 건강하게 걸으며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흉노는 아틸라의 훈제국을 끝으로 사라졌다 흉노는 어디에 있었으며 어떤 민족 국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