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11개 (131 페이지)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문자 유감
인류문명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는 데는 여러 발명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고대에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 인간은 야수로부터 안전을 담보할 수 있었고, 타 종족에 대한 비교우위의 유리한 고지를 확보했을 겁니다. 인류의 문자 사용 이후, 인쇄술이 보급되면서 정보 지식을 대중화...
[민병식 칼럼] 기 드 모파상의 '두 친구'라는 작품에서 보는 일상의 소중함
이 소설은 모파상이 1870년 프로이센과 프랑스 사이의 전쟁에 참전한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
[문경구 칼럼] 아기 장난감의 숨은 뜻은
커피 한잔에 가벼운 아침 식사를 위해 맥카페에 들어서면 그 안에 늘 먼저 와서 머물러있던 정겨운 사람들의 따스하던 정열이 식어버린 지 오래다. 늘 떠나갈 듯 자지러질 듯한 웃음으로 반갑게 맞아주던 어린 멕시칸 종업원들 얼굴도 어디에 숨어있는지 찾아내기 어려울...
[최영태 칼럼] 지상 최대 사기극
2008년 버나드 메이도프(Bernard Madoff)라는 유대인 투자 전문가는 폰지사기 사건으로 가석방 없는 150년의 실형을 언도 받고 복역 중이다. 그는 1990년부터 투자금의 10% 이자를 보장한다고 선전하여 많은 사람들의 돈을 투자받았다. 그러...
[문용대 칼럼] 열쇠
우리 집 대문 열쇠는 나와 참 가까운 사이다. 자동차 열쇠, 사무실 열쇠와 함께 어떤 물건보다 나와 같이 있는 시간이 많다. 외출할 때면 가장 먼저 챙기는 귀중품이다. 독일에서는 열쇠를 더 잘 간수해야 한다고 한다. 독일이라 하면 세계적으로 기술력이 뛰어난 ...
[김용필의 역사기행] 삼별초가 유구에서 다시 나다
1고려 원종은 왕권 위에 군림하는 무신정권을 타도하려고 원나라로 가서 속국이 될 것을 자청하였다. 몽골은 병사를 보내 최우와 김준의 무신정권을 타도하였다. 대몽고에 항몽하던 강화도 삼별초 군은 세계에서 가장 무서운 군대였다. 1270년...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본 근현대사] 눈물 젖은 두만강
<눈물 젖은 두만강> 노래는 독립운동을 하다가 일본제국주의에 사로잡혀서 총살형을 당한 남편(문창학, 함경도 온성 출신)의 돌무덤 앞에서 탄식의 눈물을 흘린 아내(영주시 풍기읍 박인경 할머니의 시조모, 문창학의 부인)의 한 맺힌 사연이다. 일본제국주...
[이경수 칼럼] 실망한 고객은 돌아선다
13년 동안 타던 승용차를 suv로 교체한 게 2014년 여름이다. 새 자동차를 인수 받기 위해 계약했던 부산의 어느 영업점 뒷마당을 찾아갔을 때 도어 아래쪽을 빙 돌아가며 붙여진 검은색 플라스틱 가니쉬가 먼저 눈에 띄었다. 거기엔 하필이면 비포장도로에서 튀어 오른 듯...
[문경구 칼럼] 지는 꽃 피는 꽃
세상 속 일원으로 살면서 한 번쯤은 사는 일이 마음에 내키지 않아서, 혹은 너무 힘들고 괴로워서 그 일원에서 탈퇴하고 싶었던 생각을 누구나 해 보지 않았을까 한다. 우선 나부터 얼마나 깊은 수렁의 늪에 빠져서 그런 생각을 했던 나를 발견하지...
[문용대 칼럼] 삶의 방식 바꾸고 간소화하기
주말을 맞아 모처럼 집안을 정리하기로 했다. 정리라기보다 큰 맘먹고 안 쓰는 물건을 찾아 내버리려 했다. 이제부터라도 삶의 방식을 바꿔 이것저것 늘리지 말고, 줄이고, 버리고, 정리하여 간소하게 지내야겠다. 풍족하게 살아보지 못한 탓인지 버리기에 인색하고 ...
[김건휘 기자 칼럼] 농교육을 생각하고 말하다
누구나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것은 농학생을 비롯한 청각장애 학생이라고 하여 예외가 아니다. 그렇지만 농학생을 비롯한 청각장애 학생들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 가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청각장애...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필명(펜 네임)을 지어두지 않은 것을 후회하는 작가가 있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 마침 오늘 아침 방송에서 그의 신작 『일인칭 단수』를 소개했는데요, 국내 서점가에 다시 하루키 열풍이 불지 않겠는가 하는 예측을 해봅니다. 뒤늦었지만 얼마 전부터 관심을 ...
[최영태 칼럼] 18년 6개월 남았다
오늘은 2020년 9월 30일, 내가 태어난 날인 1949년 3월 03일부터 꼭 71년 6개월 되는 날이다. 지금부터 그때까지는 꼭 18년 6개월이 남았다. 2019년도 작년에 나의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셨다. 아버지는 96세, 어머니는 90세까지는 그런대로 건강을 유지...
[민병식 칼럼] '찰스 디킨스'가 전하는 위대한 유산의 의미
찰스 디킨스는 19세기의 영국을 대표하는 소설가로 셰익스피어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렸다. 영국의 남부 해안 도시인 포츠머스에서 하급&nb...
[문용대 칼럼] 누비처네 사기등잔
수필가로 널리 알려진 목성균의 수필 전집 ‘누비처네’는 오래된 책이라 구하기가 쉽지 않다. ‘누비처네’라는 제목이 생소하다. 도대체 그게 무엇인지 궁금했다. ‘누비처네’라는 한 편의 글을 책 제목으로 정한 것이다. 누빈 포대기, 즉 두 겹의 옷감 사이에 ...
[김용필의 인문학 여행] 산소탱크,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1. 산소는 생명이다. 산소는 생명이다. 생물학자들은 물은 생명체의 근원인 것은 산소와 더불어 있을 때를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산소 없이는 한순간도 살 수가 없다. 밀폐공간에서 질식사하는 것은 산소 부족 때문이다. 산소는 피를 신선하게 하고 신선한 피는 ...
[문경구 칼럼] 웃음소리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라고 말하려는 이 순간에도 나는 울고 싶다. 내게 찾아들었던 감당하기 버거웠던 충격은 언제쯤에나 그 아집을 손에서 놓을 수 있을까. 작년 젊은 김씨 성을 가진 한 쌍의 새가 내 이웃으로 이사와 둥지를 쳤을 때 나도 함께 하늘을 날 것 같...
[이태상 칼럼] 나눔과 베풂의 마술 같은 기적(The Magic-like Miracle of Giving)
매년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 다음 첫 화요일(올해는 12월 1일)은 나눔과 베풂의 의미를 상기시키고 이를 실천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자는 취지로 지난 2012년 미국에서 처음 제정된 날로 지금은 전 세계적인 나눔운동으로 발전 확산되고 있다. ...
[민병식 칼럼] 발자크의 '샤베르 대령'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살아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프랑스 사실주의 문학의 거장으로 꼽히는 오노레 드 발자크(Honore de Balzac, 1799~)는 51년간의 길지 않은 생애 동안 100여 편의 장편소설과 여러 편의 단편소설, 여섯 편의 희곡과 수많은 콩트를 썼다. 발자크의 대표작으로는 19세기 프랑스 사회사...
[이경수 칼럼] 극적타결로 멈추지 않은 전국 건설현장 타워크레인
한국노총 타워크레인 조종사들이 오늘 오전 07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하였으나 현재 노와 사의 큰 충돌 없이 극적 타결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투쟁본부의 지침에 따라 타워크레인 조종사들은 정상근무 중에 있다. 이들은 앞...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안녕하세요. 강라희입니다. 과부하 걸린 뇌는 달콤한 설탕을 원...
서재의 책꽂이에 꽂혀있는 책을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해야겠다는 마음 먹고 책을 정리하는데 ...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2025년 7월 23일, 해군...
가족과 함께 또는 연인과 함께 건강하게 걸으며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흉노는 아틸라의 훈제국을 끝으로 사라졌다 흉노는 어디에 있었으며 어떤 민족 국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