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22개 (172 페이지)
[김춘식 칼럼] 짐승을 쫓는 자는 산을 보지 않는다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이라는 말이 있는데 정신을 한곳에 모으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는 것, 마음을 온통 한곳에 모아 거기에만 신경을 쓴다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는 뜻이다. 진무제 태강(太康)연간에 낙양의 종이값이 원래 한 장에 ...
[이태상 칼럼] 일엽편주一葉片舟 낙엽송落葉頌 (속續) An Ode To Autumn Leaves (Continued)
2021년 11월 12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살며 느끼며] 칼럼 ‘생의 마지막 5분’ 필자 민병임 논설위원은 “하루가 지나면 하루를 묻어버리면서 1년 36...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11월의 무게
사진=신연강은행잎이 노랗게 변할 무렵엔 점멸하는 황색 신호등이 보인다. 그 등 너머 안개 자욱한 도로 끝에 서 계신 어머니. 그렇게 어머니는 11월에 떠나셨다. 바람에 떨어지는 은행잎과 함께 기억의 파편들이 흩날리고, 마음을 동여맸던 끈이 풀리면 서툰 기억들이 쏟아져 ...
[하진형 칼럼] 마음까지 치료해 주는 심의(心醫) 홍 원장
언제부턴가 오른쪽 귓속이 아팠다. 동네 이비인후과의원에 가면 외이도가 좁은 것 말고는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서 약 먹고 며칠 지나면 괜찮을 거라 했지만 증세는 계속 심해졌다. 인근의 다른 의원에 가 보아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며칠 전부터는 통증이 더욱 심해졌다. 할 수...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 게임' 창안創案을 제의提議하며 Proposing 'Cosmian Game'
2021년 11월 13일자 미주 뉴욕 전자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발언대] 칼럼 <‘오징게임’vs.‘오징어 도박’> 필자 레베카 김은 “문화콘텐츠의 강국 대한민국, 살인적이고 ...
[고석근 칼럼] 죄와 벌
인간이 불행한 것은 자신이 행복하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이다. 그것뿐이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러시아의 대문호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는 관 속처럼 좁고 음침한 하숙방에서 인류를 위해 전당포 노파를 살해하려는 망상을 ...
[이태상 칼럼] 일엽편주一葉片舟 낙엽송落葉頌 An Ode To Autumn Leaves
2021년 11월 9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살며 생각하며] 칼럼 '요한, 너는 좋으냐? 낙엽 쓰는 소리가' 필자 김학선 자유기고가는 자신이 겪은 '자업자득自業自得' 일화를 이렇게 적고 있다.11월로 들어서면서 낙엽이 땅 위에 그득합니다...
[민병식 칼럼]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에서 바라는 순수와 휴머니즘으로의 회귀
평안북도 출생의 계용묵(1904-1961) 선생은 1927년 조선문단에 소설 ‘최서방’이 당선된 이후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고, 1943년에는 천황불경죄로 2개월간 수감생활을 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현실주의적이고 경향파적인 작품을 썼으나 1935년에 백...
[이태상 칼럼] 코리아는 세계의 샛별, 새벽별이다 Korea is the Morning Star of the World
2021년 11월 12일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기고] “한국 낙제생이 미국서는 1등” 필자 인요한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은 "(한국인은) 이제 우리 자신을 과소평가하지 말자"고 이렇게 증언하고 있다.1980년 3월 연세대 의예과 ...
[송윤정 칼럼] 자연을 닮아가며
나의 깨달음은 퇴비에서 시작되었다. 몇 해 전 중고물품을 파는 사이트에서 퇴비를 만드는 통을 사서 뒷마당 키 큰 자작나무 뒤에 놓았다. 환경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는 때, 전 세계 1인당 평균 탄소 배출량의 4~5배를 배출하는 미국인의 한 사람인 것이 부끄러워서 무언가를...
[이태상 칼럼] 코스모스 칸타타: 충만한 삶을 위한 코스미안으로서의 자아발견 Cosmos Cantata: Self-Discovery As Cos...
2021년 11월 11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삶의 뜨락에서] 칼럼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필자 이춘희 시인은 미국 작가 윌리엄 포크너의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독후감을 이렇게 끝맺고 있다. “포크너는 삶에 섞인 부조리와 허무를 끄집어...
[홍영수 칼럼] 소쇄원(瀟灑園), 沈黙없이 침묵하는 음악을 듣다
존 케이지의 ‘4분 33초’라는 음악을 떠올린다.그의 음악은 선율의 아름다움이나 심금을 울린 음악도 아니고 가슴을 파고드는 울림의 멜로디도 아니다. 주변의 소음과 일상적인 소리에 관심을 가지고 기존의 틀에 갇힌 감옥에서 탈출한‘반예술(anti-art)의 음악이라는 것에...
[김춘식 칼럼] 독서만필
사진=코스미안뉴스 DB나의 생일파티에서였다. 며느리가 곱게 포장한 책 한 권을 건네주면서 말했다. “비록 값진 것은 아니지만 아버님이 제일 좋아하실 것 같아 이렇게 선물로 드려요. 항상 좋은 책 많이 읽고 좋은 글 많이 쓰세요.” “그래, 네가 내 마음...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북청 물장수
우리나라 서울의 상수도는 1908년 9월 1일 처음으로 통수되었다. 뚝도유원지 제1정수장이 첫 수원지. 조선 26대 임금인 동시에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 시절이다. 이곳 정수장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배관을 타고 각 가정으로 급수되었다. 하지만 이런 시설은 평지나 완경사...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그냥 저절로 도정道程 Cosmian's Path: To Each Its Own
2021년 11월 3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단상] 칼럼 '좋은 날에' 필자 박옥규 수필가는 "오랜 친구를 만나면 정겨운 것 처럼, 시냇물을 보고 있노라면 그냥 정겹다. 시냇물은 깊은 곳, 좁은 곳, 돌이 많은 곳이든, 주위를 둘러 보지 않고 흐른다....
[이태상 칼럼] 이 시대의 시대정신時代精神Zeitgeist 은 무엇인가? What's the Spirit of this Age?
2021년 11월 9일자 미주 뉴욕판 오피니언 [인사이드] 칼럼 '2022년 한국대선, 그 시대정신은---' 필자 옥세철 논설위원은 "정권교체의 여론은 압도적"이라고 이렇게 진단, 전망하고 있다."시대정신. 독일의 철학자 요한 고트프리드 헤르더가 1769년 ...
[하진형 칼럼] 이순신 정신과 리더의 덕목
사진=하진형푸른 가을하늘이 높아질 대로 높아져 겨울을 불러내고 있는 요즘, 내년 3월의 대통령선거에 출마할 주요 후보들이 정해지면서 국민들의 관심이 뜨겁다. 곧 차기 지도자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이다. 어떤 조직이든 리더의 역할은 막중하다. 그 시대의 리더에 따라 역...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경계인境界人 아닌 우주인 코스미안이다
2021년 11월 8일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삶과 생각] 칼럼 '절망과 희망 사이' 필자 김부경 수필가는 “털어봐, 아프지 않은 사람 있나, 찾아봐, 힘들지 않은 사람 있나. 물어봐, 사연 없는 사람 있나. 들어봐, 삶의 무게 없는 이 있...
[고석근 칼럼] 나는 타자다
새는 알 속에서 빠져나오려고 싸운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기를 원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헤르만 헤세 ‘대화가 부족해!’ 우리는 항상 대화에 굶주려 있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대화가 정말 대화일까? 일본의 석학 가라타...
[이태상 칼럼] 사랑은 우리 모든 우주만물 코스미안의 본성이다 Love is the Nature of Us All Cosmians, All Be...
2021년 11월 6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삶과 생각] 칼럼 '우주에서 가장 빛나는 존재' 필자 송일란은 우리 모든 코스미안의 모습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깊은 산 속이면서도 바닷가 가까이 있는 곳에서 오붓하게 캠핑을 하고 왔다. 두 시간가량 산책...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3분 신화극장] 바스크의 여신, ‘마리’  ...
길러지는 것은 신비하지 않아요. (…) 아무도 나를&...
꿈의 예술단 합동캠프 「2025 꿈의 페스티벌」이 8...
“권불십년, 화무십일홍” 이 짧은 격언은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사람들의 가슴에 깊...
< 다면목간 초분광 분석 사진 >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경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