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12개 (171 페이지)
[문용대 칼럼] 여유의 행복
여유는 마음의 여유와 물질적 여유를 들 수 있다. 여유를 공간이라는 다른 말로 표현할 수도 있다. 몸은 외적 공간의&nb...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사랑의 구도자 코스미안이어라
이제 3주도 채 남지 않은 미국 대선에서 열세(劣勢)에 몰려 날로 패색(敗色)이 짙어가는 도널드 트럼프가 옛날 그의 TV쇼에서 외치던 불호령 ‘너는 해고야 (You are fired)’가 부메랑(boomerang)처럼 자신에게 떨어질 운명의 날을 직면해서일까...
[김건휘 기자] 농교육을 생각하고 말하다
사람은 누구나 대화를 통해 관계를 형성하게 되며, 서로의 마음을 알아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대화라고 하는 것은 둘 이상의 사람이 모여 이야기를 하는 것을 말한다. 즉 말하는 사람인 화자, 듣는 사람인 청자로 대화의 주체가 구성이 된다. 얼핏 보면 자...
[이태상 칼럼] 때는 바야흐로 신천지개벽(新天地開闢) 코스미안시대가 열리는 것이리라
“저는 어른들이 희망을 품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저는 어른들이 두려워하기를 바랍니다. 저는 어른들이 제가 매일 느끼는 공포를 느끼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저는 어른들이 행동하기를 바랍니다. 저는 어른들이 우리 집이 불타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기를 바랍니다. 왜냐...
[최용완 칼럼] 백제금동대향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015년 7월 4일에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했다.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 3개 지역에 분포된 8개 고고학 유적지로 선정하였다. 불교 사찰과 고분, 건축학적 특징과 석탑 등이 백제 왕국의 고유한 문화, 종교, 예술을 보여주는 ...
[민병식 칼럼]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의 '뚱뚱한 신사'가 말하는 편견과 선입견 깨기
워싱턴 어빙(미국, 1783-1859)은 뉴욕 맨해튼에서 부유한 철물점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고 어린 시절부터 모험 문학을 사랑해 열일곱...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근대 건축의 거장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곡선은 ‘당나귀의 길’이며, 직선은 ‘인간의 길’이라고 했다. 그 이유는 인간이 직선을 통해 효율의 극대화를 추구했으며, 일상의 삶에서 직선을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직선은 많은 건축물에 적용...
[문용대 칼럼] 건강한 삶과 죽음
몇 년 전 집 근처 요양보호사학원을 발견하고 야간반에 등록했다. 저녁 시간을 유용하게 보내고 싶기도 했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다. 막상 시작은 했지만 그 과정이 만만치 않았다. 낮 시간도 아니고 직장을 다니면서 야간과 주말에 이론 160시간과 실습 80...
[민병식 칼럼] 오스카 와일드의 행복한 왕자와 제비에게 배우는 나눔의 정신
오스카 와일드(1854~1900)는 아일랜드 더블린 출생의 극작가이자 소설가, 시인으로 19세기 말 유미주의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옥스퍼드 대학...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코스모스 상사병 환자다
2016년 데뷔하자마자 ‘휘파람’, ‘불장난’으로 국내 가요계를 휩쓸었던 블랙핑크가 4년 만의 정규 1집으로 세계 음악시장을 뒤흔들고 있다는 보도다. 추석 연휴인 10월 2일 발매된 정규 1집 ‘THE ALBUM’ (디 앨범) 타이틀곡 ‘L...
[이태상 칼럼] 내가 나의 벗이 되리라
지난 9월 29일 저녁에 있었던 미국의 2020년 첫 대선후보 토론은 인신공격과 거짓말이 난무하는 진흙탕 싸움이었다. ‘최악의 토론’으로 “미국을 겁주는 호로 쇼”라는 USA 투데이의 표현을 비롯해 “수치(disgrace)”니 “X 쇼(shit show)”라...
[김건휘 기자 칼럼] 농교육을 생각하고 말하다
지난 시간에 살펴본 것처럼, 발달단계에 따라서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문장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살펴보자면 낱말의 배열에 의하여 구, 절, 문장을 형성하는 규칙 등이 있는데 이것을 구문론이라고 한다. 낱말의 배열에 따...
[이태상 칼럼] 현대판 우화(寓話): 코스미안 산고(産苦)
오늘 아침(2020년 10월 4일 자) 일요판 뉴욕타임스 오피니언 페이지의 인기 칼럼니스트 모린 다우드(Maureen Dowd, 1952 - )는 그녀의 칼럼을 ‘현실이 트럼프 세계의(거품) 공기 방울을 터뜨리다(Reality Bursts The Trump ...
[문용대 칼럼] 마음의 거리
2019년 말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온 세계가 일 년 가까이 앓고 있다. 확진자 숫자가 줄어드는 듯하다가 수도권에 이어 충청, 호남, 영남 등 전국에 늘어나고 있다. 늦게 퍼지기 시작한 나라들도 우리나라를 앞지르기도 한다. 발...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본 근현대사] 건배
‘대중가수는 대중들에게 꿈을 파는 사람이다.’ 2020년 9월 30일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 공연에서 나훈아가 전한 말이다. ‘테스 형!, 아~ 세상은 왜 이래?’라고 질문을 했는데, 형님인 소크라테스(BC 470~399)는 대답이 없다고도 ...
[민병식 칼럼] 마크 트웨인의 세상을 향한 외침, 왕자와 거지
16세기 중엽 어느 가을 영국 왕실과 런던 시에서는 두 사내아이가 태어난다. 한 명은 왕세자 에드워드 튜더이며 다른 ...
[이태상 칼럼] 모두 다 ‘하나님’이어라
“사람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물과 무기질일까 아니면 사랑-긍정-용기-희망-위로-감사-믿음-겸손-배려일까.” 카피라이터 정철의 말이다. 이탈리아의 조각가 미켈란젤로(Michelangelo 1475-1564)가 남겼다는 말 열 마디 우리 ...
[홍용석의 인생 이모작] 뽕나무버섯
버섯의 계절이 왔습니다. 뽕나무를 길러 오디를 생산하고 누에를 치면서 생각지도 못한 부산물이 나왔습니다. 오늘 농장을 둘러보다 뽕나무버섯 군락지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뽕나무버섯을 우리지역에서는 가다바리버섯이라 부릅니다. 뽕나무에서 나는 상황버섯과는 다...
[이태상 칼럼] 우리 새로 태어나리
온 인류가 코로나 펜데믹 이후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세상은 어떻게 바뀔 것인가, 아니, 어떻게 바뀌어야 할 것인가를 우리 모두 심각하고도 진지하게 생각해 볼 기회가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것 아닌가. 우물 안 개구리 식의 근시안적인 기존의 생...
[이태상 칼럼] 모두 다 향기롭지
얼마 전부터 한국도 미국도 대중매체의 언론과 정치판에서 사실과 진실은 실종되고 상대의 약점을 물고 늘어지는 ‘갓차(gotcha, got you의 줄임말)’ 언론과 정치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함정을 파놓고 교묘하게 유도해서 ‘너 딱 걸렸어’ 하는 마녀사냥 말...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사진=코스미안뉴스사진=코스미안뉴스사진=코스미안뉴스 요즘 이런 장독간을 보기 힘들다...
안녕하세요. 박지혜입니다. 시는 진실의 언어로 깨어나 우리에게...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시상식 사진에서의 손기정 선수(손기정기념재단)1936년 베...
“세상이여 반갑다. 사람들이여 고맙다.” 신문기자 출신 평론가...
안녕하세요. 박지혜입니다. 시는 진실이 언어로 깨어나 우리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