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254개 (163 페이지)
[최용완 칼럼] 홍산문화를 지켜온 고조선과 고구려
인류문명의 시작은 홍산문화에서다. 새로운 정보시대를 맞아 혈연학자들이 현대인류의 유전자에 기록된 시간을 발견하여 아프리카를 떠난 후에 한반도에 이르렀을 때가 5만 년 전이라고 발표하였다. 같은 혈연학 지도에서 중화족은 인도 북방에서 1만 년 전에 나타나서 내륙으로 북상...
[이태상의 항간세설] 우린 윙크하는 별들이리
지난 2015년 10월 10일 뉴욕문화학회 건물에서 ‘현대 코스모스 주의(Modern Cosmism)’ 회의가 열렸다. 우리의 시야를 넓혀 안목을 뜨고 우주적 시각으로 우리 모두의 일체감과 조화를 도모 해보자는 취지에서였다. 닥쳐올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예방...
[이태상의 항간세설] 코스모스 피는 들판에서 너를 만나리
2020년 5월 12일자 코스미안뉴스에 보도된 아래와 같은 단신이 있다. ‘평행세계는 존재하는가? 인물이 두 세계에 동시에 존재, 이론적으로 가능, 현재 SBS에서 방영 중인 드라마 '더킹: 영원의 군주'에는 두 개의 세계가 존재한다. 한 인...
[이태상의 항간세설] 유문무답(有問無答)이냐 불문가지(不問可知)냐
최근 코스미안뉴스 ‘국제뉴스’에 실린 엘론 머스크의 미래 예측 ‘5년 이내에 인간의 언어 쓸모없게 될 것’이란 아래와 같은 단신이 있었다. 엘론 머스크는 인간의 언어가 5년 안에 쓸모없는 구식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고 보도했다. The Joe...
[김건휘 기자 칼럼] 특수교육을 생각하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교육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조기에 장애를 발견하고 진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 조기발견과 진단은 향후에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칼럼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단과 평가, 배치과...
[이태상의 항간세설] 인간은 언제나 ‘여행 중’이라서 다 좋다
요즘 미국 전역에서 흑인 청년들이 잇달아 총격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2월 조지아주(州)의 브란스윅 교외에서 25살 흑인 청년 야마우드 아버리(Ahmaud Arbery)가 조깅을 하던 중 백인 남성 그레고리 맥마이클 (Gregory...
[이태상의 항간세설] 우린 모두 ‘우분투(ubuntu!)’ 코스미안이어라
“깨어나라. 이 시대를 버려라. 너부터 변화시켜라.” 반역자 양성소 ‘건명원(建明苑: FUTURE NEW SCHOOL 인문-과학-예술 학교)’의 설립자 오정택 이사장의 주문이다. 체제 순응적인 능력자가 아닌 반역자를 키우겠다는 취지에서 오정택 두양문화재단 이...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국수 한 그릇 어떤가요
비가 제법 내립니다. 모처럼 길게 호흡하며 주말 내내 대지를 적실 것 같습니다. 사선을 그며 떨어지는 빗줄기를 따라가던 물방울들이 실루엣을 펼칩니다. 희뿌연 대기 속에 보이는 낯익은 얼굴.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가 걸었던 더블린Dublin 거리를 걸으며 소설...
[양동규 기자의 눈] 장기적 대안의 부족이 만들어낸 현재의 교육상황
5월 11일 발표로 5월 13일로 예정되었던 순차적 대면개학이, 이태원에서 다시 확산된 코로나19로 인해 1주일 더 연기되었다. 벌써 5번째 연기이다. 장기적 대안 없이 코로나19가 종식되기를 바라는 요행만 바란 결과가 ‘5번에 걸친 대면개학연기’로 나타난 ...
[이태상의 항간세설] 명선이복초 : 여성에게 바치는 헌사
2020년 4월 9일자 뉴욕타임스는 ‘인공지능의 미래(The Future of A.I.–Artificial Intelligence)’라는 제하의 특집을 냈다. 인공지능은 무소부재로 우리가 하는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는 말이다. 테크놀로지 ...
[최용완 칼럼] 동아시아의 도시계획
석기시대 사람들은 강가나 바닷가에 살면서 뼈낚시, 나뭇가지 그물 등을 가지고 물고기를 잡거나 조개를 채취하였고, 돌창, 돌화살 등으로 짐승사냥을 하였다. 동굴에서 동굴로 이동하며 살다가 한반도에 이르러 농사짓기 시작하며 신석기시대를 맞이했다. 식량자원이 풍부한 큰 강가...
[이태상의 항간세설] 독수리와 종달새
대한민국 예찬론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이 부럽습니다.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국뽕은 아니지만, 아, 국뽕이 맞을 수도 있겠네요. 죄송합니다만 한인 디아스포라의 일원으로 대놓고 한국 칭찬 좀 하겠습니다. &n...
[김희봉의 삶의 향기] 봄의 교향악
북캘리포니아의 봄은 벚꽃망울 끝에 나비처럼 맨 먼저 내려와 앉는다. 겨우내 뿌리던 빗줄기 발이 한결 순해지고, 낮고 동그마한 구릉들이 푸릇푸릇 살아 움직이기 시작하면, 벚꽃송이들은 금세 솜사탕처럼 부풀어 오른다. 가지마다 흰꽃, 분홍꽃, 타오르는 생명의 빛깔...
[이태상의 항간세설] 씨구씨구로다
2020년 5월 4일 한국일보 오피니언 페이지 ‘아침을 열며’ 칼럼 ‘다가올 10년 촉각 인터넷 시대를 준비하자’의 필자 전승화 데이타 분석가는 다음과 같이 촉구하고 있다. “지난해 4월 한국이 세계 최초로 5G(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를 이...
[이태상의 항간세설] 해심(海心) 타령
지난 2019년 10월 1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아띠홀에서 있었던 제1회 코스미안상 시상식과 응모작 선집 ‘69 프로젝트’ 출판 기념회에서 코스미안뉴스 회장으로서 응모해주신 여러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서 진주 같은 삶, 무지개 같은 사랑의 노래를 ...
[이태상의 항간세설] 나무처럼 살자
‘지구가 멈추는 날(The Day the Earth Stood Still)’은 같은 이름의 1951년 영화를 다시 만든 2008년 개봉된 미국 공상 과학 스릴러 영화로 영화 속 주인공 외계인 클라투(Klaatu) 역을 맡은 키아누 리브스(Keanu Reeves)가 이런...
[김건휘 기자 칼럼] 특수교육을 생각하다
최근의 특수교육은 ‘분리교육’에서 통합교육’으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교육이 특수교육이 지향하는 사회적응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비장애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비장애 학생들에게는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하...
[이태상의 항간세설] ‘클미’의 ‘삶’이어라
2020년 4월 30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페이지 ‘뉴스의 현장’ 칼럼 ‘흔들리는 서구우월주의’를 석인희 LA사회부 기자는 이렇게 끝맺고 있다. 저명한 미래학자 유발 하라리 교수는 프랑스 잡지 ‘르 포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포스트 ...
[이태상의 항간세설] 가슴으로 철학하기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격리된 상태에서 당면한 실존적인 문제를 풀어보려고 애쓰는 가운데 혹자는 실존주의의 선구자로 불리는 덴마크의 철학자이자 신학자 쇠렌 오뷔에 키르케고르(So/ren Aabye Kierkegaard Kierkegaard ...
[최용완 칼럼] 고구려의 음양오행은 인류의 종교와 과학의 시작이었다.
사람이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은 기억하여 대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밤이 없으면 낮을 인식하지 못한다. 음양은 모든 삼라만상의 현상이 음(陰)과 양(陽)의 모습으로 비교되며 인식하는 능력의 시작을 뜻한다. 남들이 있기에 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내 주위에 앞과 뒤가 있...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연예 매체 ‘버라이어티’ 보도에 따르면 미국 NBC 방...
선재길을 걸으며 수려한 자연과 그 속에 담긴 역사 이야기 그리고 국립조...
거침없는 상상력과 감각적인 문장으로 그려낸 강렬한 서사의 세계이토록 존귀한 나는 누구인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새 신발 새로 산 운동화가 훌쩍이고 있어요.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