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30개 (177 페이지)
[하진형 칼럼] 가지치기와 허물벗기
청명한 가을 같은 겨울 하늘이 햇볕을 내려 준다. 다음 주엔 추위가 온다는데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사다리 톱, 전지가위를 챙겨 감나무밭으로 간다. 지난 가을엔 이웃 농장의 감을 땄었는데 올겨울부터는 직접 감 농사를 짓기로 했다. 제일 먼저 할 일은 가지치기다. 전 ...
[고석근 칼럼] 법
굳세고 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요,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이다.- 노자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미제라블’에서 자베르 형사는 선하게 살아가고 있는 장발장을 왜 그리도 집요하게 잡으러 다녔을까? 그는 자신이 ‘정의의 화신이어서’라고 생각했겠지...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그 사람 찾으러 간다
1990년대 어느 가을날 서울에 살고 있던 이경희(당시 64세)라는 여인 앞으로 미국에서 보낸 항공 우편물이 날아왔다. 그 속에는 55.5×74.5㎝ 판화지에 사진 이미지를 붙이고, 색깔 펜과 크레용 등 다양한 필기구로 어릴 적 기억을 얽었다. 그 시절 적은 낙서와 시...
[김관식의 짧은 시] 매미102
매미102-대신 울기심부름센터말씀만 하세요무슨 일이든지도와드려요대신울어드려요[김관식 시인]노산문학상 수상백교문학상 대상 수상김우종문학상 수상황조근정 훈장김관식 kks41900@naver.com
[민병식 칼럼] 오노레 드 발자크의 '외제니 그랑데'에서 보는 물질과 사람
발자크가 1829년에 소설 '올빼미당원'과 '결혼의 생리학'으로 문단에 첫걸음을 내디딘 직후 프랑스는 부르주아지가 지지하는 민주적 왕정이 들어섰다. 1789년의 프랑스혁명은 귀족 계급에 대한 부르주아지의 승리였으며, 1830년의 7월혁명은 부르주아지의 제패였...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자구다복 自求多福 Cosmian’s Selp-Help for Many Blessings
2021년 12월 23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발언대 ] 칼럼 – ‘조국의 통일은 언제쯤 올까’ 필자 김광석/한미헤리티지소사이티회장은“통일 전략은 남북한간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인 관점...
[홍경석 칼럼] 합리적 전략이 부럽다
자영업자들이 단단히 뿔이 났다. 정부가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도입한 방역패스(접종증명)와 영업 제한에 반발하여 단체행동에 나섰다.소상공인연합회와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는 12월 2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에서 소상공인·자영업자 생존권 결의대회를 열었...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 복낙원송復樂園頌 Cosmian Hymn of Paradise Regained
2021년 12월 17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삶과 생각] 칼럼 '12월 단상, 낙원의 부활' 필자 정기용 전 한민신보 발행인은 "해가 바뀌는 어귀에 서서 새삼 시간의 개념을 명상해본다"며"올해 따라 유난히도 정겨움에 더해 서글프게, 또 더하여 신묘하...
[홍영수 칼럼] 모순의 파열음에서 피어난 날것의 범종각
번잡하고, 소음과 매연에 찌든 도심의 일상을 떠나 만나는 자유로움 속에서 숲속의 새소리와 계곡 물소리를 듣는다. 중심 잃은 듯 비틀거리며 방황하는 어리석은 중생의 가짜인 나 ‘가아(假我)’를 벗어 던져 버리고 싶을 때 마음을 열고 한 번쯤 여행을 떠나보는 것이 좋다. ...
[김춘식 칼럼] 하루아침에 열매를 맺는 나무는 없다
하루아침에 성공한 것 같은 사람들, 이 사람들은 지름길을 발견하고 편한 삶을 누리는 것 같지만 이 사람들에게 하루아침이란 없다. 그곳에 이르기까지의 힘들고 어렵던 과정이 분명히 있었다는 것이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끊임없는 반복과 연습으로 무장해야 한...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인생철학: '올 테면 와 보라. 만사를 다 환영하리라.' Cosmian's Philosophy of Life: 'Co...
2021년 12월 20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나의 의견] 칼럼 '축복받은 세대?' 필자 장아라 / 첼리스트는 "축복 받은 세대라고 굳건히 믿던 내 믿음은 지난 몇 년 대반전을 이루고 있고 내 후대에 대한 걱정이 물밀듯 밀려온다. 주저앉지 않고 오뚝이...
[김관식의 양심선언] 시인의 의자·40
시인의 의자·40-가지 않는 길 봄이 왔습니다. 시인의 의자 곁에서 별꽃이 뿌리를 뻗더니 작은 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눈송이 크기만 한 이 앙증맞은 별꽃은 시인의 의자의 동무가 되기에 충분했습니다. 봄바람은 부드러웠습니다. 차가우면서도 따스한 온기...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배반의 미덕
방송 끝머리에 스쳐간 얼굴. 그래서 얼굴은 생각나지 않는다. 이름을 듣지 못했기에 기억할 수가 없다. 다만, 아나운서의 멘트를 통해 그가 신부라는 사실을 알았다. 그의 말 중 기억나는 것은, “가난한 것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가난함으로써 알게 되는 것이 있고, ...
[유차영의 꽃에게 건네는 말] 구원救援
구원救援- 의지할 곳 강이 깊으면 물이랑 낮고하늘 넓으면 달 오래 뜬다네 산골 깊으면 먼지가 일지 않고사람이 넓으면 발길이 잦지 화로 속 자주 뒤적거리면 속 불이 식고문지방 자주 넘으면 발바닥이 문드러지...
[사설] 박근혜 특별사면에 부쳐
"장부로 태어나 쓰임을 당하면 죽을 힘을 다해 충성할 것이요, 쓰임을 당하지 못하면 초야에서 농사지으며 살아도 족하다. 권세 있는 자에게 비위를 맞추어 영달을 훔치는 것은 나에게는 수치다."이순신 장군의 이 말이 요즘 부쩍 가슴에 와 닿는다. 이 말처럼 우리는 국가나 ...
[최규성 칼럼] 인명풀이 경행(景行)천황 2
경행(景行)은 ‘보행(步行; 호도아루). 열행(熱行; 호토오루)’ 같은 표기였던 것이 호자이자화(好字二字化) 등의 정책 영향으로 후대인에 의해 변형되어 나타난 표기로 추측된다는 얘기다. 다시 말해, 대족(大足; 오타라시), 대대(大帶; 오타이), 의다랑(意多郞; 오타라...
[하진형 칼럼] 동해의 따뜻한 겨울
친구들과 동해 여행을 떠났다. 같이 떠날 친구가 있다는 것은 큰 행복이다. 여행의 방법과 목적은 달라도 같은 시간에 숨 쉬며 같이 공간을 이동하는데 동행한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행복한 것이다. 물리적 거리의 이동, 길던 짧던 또는 어디를 가든 혼자의 여행은 자칫 외로움...
[이태상 칼럼] 함석헌 선생님의 계시啓示와 훈시訓示 아니 고인의 유지遺志를 받들어
2021년 12월 20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옥세철의 인사이드] 칼럼 '종전선언이 이루어지면…' 필자는 "‘베이징 동계 올림...
국제탈공연예술촌 이야기
사진=서재심경남 남해군 이동면 음지마을에는 국제탈공연예술촌이 있고 그곳에는 늘 벙거지를 쓰고 화단에서 풀을 뽑던 촌장님이 계셨다. 그곳에 갈 때마다 촌장님을 보면서 그냥 무심하게 ‘촌장님, 안녕하세요?’ 소리 높여 인사를 하고 사무실로 들어가곤 했었다. ...
[고석근 칼럼] 통 큰 사람
좀 더 어린애 같으면서도 그전보다도 백배는 더 섬세해진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 프리드리히 니체 오래전에 문학 모임에 나갔다가 한 잡지사 직원과 얘기를 나누게 되었다. 그녀는 저 유명한 강가에 사는 한 시인을 비난했다.  ...
Opinio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경상우수영 가배랑진성을 답사 중인 거제이순신학교 제1기 수강생들 거제이순신학교 제...
[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n...
청소년 시절 셰익스피어의 ‘오셀로(1565)’를 읽다가 그 작품 속의 주...
‘신(神)들의 벗, 해민(海民)의 빛’을 주제로 삼은 이번 축제는 탐라의 뿌리와...
안녕하세요. 김수아입니다. 시는 상처 난 마음을 섬세하게 봉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