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16개 (171 페이지)
[곽흥렬 칼럼] 문명의 이기, 이기를 가르치다
무릇 세상 모든 것에는 동전의 양면처럼 항시 빛과 그림자가 존재하기 마련인가 보다. 성서 창세기에도 선악과善惡果 이야기가 나오듯, 조화주가 세상을 만들 때 미리 그렇게 점지해 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아니, 비단 조화주의 ...
[김관식 칼럼] 성공은 과정이 아름다워야 한다
어린 시절 궁핍한 생활을 했던 사람이 큰 부자가 되거나 높은 지위에 올랐을 때 그 사람을 출세한 사람, 성공한 사람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사람을 향해 “개천에서 용 났다,”라고 한다.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일은 극히 드문 일이다....
[이봉수 칼럼] 이민구의 동주집(東州集)에 나타난 합포해전지 위치
조선 중기의 실학자이자 이조판서를 지낸 이수광의 아들 이민구(李敏求)는 그의 문집인 동주집(東州集)에서 “둔영을 임한 합포에서 왜적을 물리쳤다. 고운(孤雲)은 멀리 해곽을 떠났지만, 옛 누대(월영대)에 찬 달만 남았네(屯營臨乎合浦兮 曾習流而九伐…孤雲遠以海廓兮 留古臺之寒...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어린공주’ ‘어린왕자’
생리에 맞지 않는다고, 방관적 관객 같은 뉴스 리포터보다는 뉴스메이커로서 삶의 주인공 배우가 되어보겠다고 짧게 해본 신문기자 생활을 그만두었다. 그리고 ‘해심(海心)’이란 나의 자작 아호(雅號)를 대폿집 옥호로 삼아 처음에는 한국일보...
[임이로 칼럼] 기억을 걷는 시간
최근 봄비가 추적추적 내렸다. 봄비는 가볍게 흩뿌리며 얇은 빗발로 특유의 물 냄새를 풍기는데, 예전에 할머니 집에 묵을 때 밤에 내리는 비를 구경하다, 할머니께서 봄비가 잘 내리면 그 한 해 농사가 잘된다고 말씀하시던 기억이 났다. ...
[윤헌식의 역사칼럼] 정걸의 조방장 기용 배경
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영 조방장(助防將)으로 활약한 정걸(丁傑)은, 칠순이 넘는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은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후세의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만드는 인물이다. 정걸의 자는 영중(英仲), 본관은 영광(靈光...
[고석근 칼럼] 사람만이 희망이다
태연해야지 하고 생각해도 사람만 보면 가슴이 뭉클해요. 오, 여기 또 하나 불쌍한 것이 있구나,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누군지는 모르지만 이자 역시 먹고 마시고 사랑하고 두려워한다. 이자 속에도 하느님과 악마가 있고,&nb...
[이순영의 낭만詩객] 잘생긴 그 남자
잘생기면 다 용서된다. 잘생기면 이유 불문하고, 장땡이다. 잘생기면 여자가 꼬이고 잘생기면 돈이 생긴다. 그렇다. 잘생기면 다다. 어른들은 얼굴 뜯어먹고 살 거냐고 나무라지만 얼굴이라도 뜯어먹고 살고 싶은 것이 솔직...
[민병식 칼럼] 시몬 드 보부아르의 '위기의 여자'에서 보는 나 자신 사랑하기
시몬 드 보부아르(1908 ~ 1986)는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사회 운동가, 작가로 파리의 부르주아 가정에서 태어나 소르본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1943년 '초대받은 여자'로 본격적인 작가 생활을 시작해 지식인의 문제를 다룬 '...
[신기용 칼럼] 시적 진술의 개념 이해
시집을 읽을 때, 전 분량이 비시적 표현으로 일관한 사례를 종종 본다. 이는 묘사 시도 진술 시도 아닌, 넋두리 늘어놓기, 피상적 주장, 자기중심적 설명으로 일관한다는 의미이다. 진술이란 《표준국어대사전》에...
[김태식 칼럼] 어느 지인의 1980년대의 회상 – 사하라 사막의 감옥
감방의 전면은 철조망으로 겹겹이 울타리를 만들어 놓았고 가운데에는 제법 널찍한 마당이 있으며 한쪽에는 간수들의 방과 아프리카 지역의 온갖 잡범들을 가둬 놓은 꽤 큰 방이 있었다. ㄷ자 형식으로 지어진 감방 가운데에 화장실이 있고 다른 한쪽에도 여러 개의 수용시...
[허정진 칼럼] 마음의 나침반을 따라가다
혼술·혼밥을 좋아한다. 아니, 좋아한다기보다 그리 불편해하지 않는다. 어떻게 혼자서 술 마시고, 혼자서 밥 먹느냐고 친구가 의아해한다. 자기는 집은 물론 술집에서도 절대 혼자서 술 마시는 법이 없고, 밥도 식당은 물...
[홍영수 칼럼] 독서 예찬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덕무는 책을 읽다가 눈병을 얻고서도 수많은 독서를 했기에 그를 일러 책만 읽는 바보라는 의미의 ‘간서치看書痴’라 했다. 또한, 나비 그림을 많이 그렸던 화가 남계우는 지극한 나비 사랑으로 그를 ‘남나비’,&nbs...
[김관식 칼럼] 황금비율과 피보나치수열
우리가 눈으로 보았을 때 아름답다고 느끼는 사물들의 비율을 황금비율이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시대 사람들의 미의식은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모습이 곧 신의 모습이라고 생각했고, 신상을 조각할 때 인간의 신체로 신의 형상을 조각했다. 수학자로 알려...
[사설] 선거철에 바라보는 인간 본성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이 후보자 공천을 하는 과정에서 민망한 잡음이 들리고 있다. 총선이 임박한 지금은 권력의 속성과 인간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국회의원은 과연 국민을 위한 봉사자일까. 아니면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속물일 뿐일까. 공...
[여계봉의 시평] 의료대란 유감
정부의 의대 증원에 대해 반대하는 대학병원 전공의들이 사직서 제출 등으로 집단행동을 단행하면서 대규모 병원 이탈과 의대생들의 동맹휴학 등 의료계가 전면적인 실력행사에 나서면서 의료대란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다른 나라들은 인구 고령화에 대비해 의...
[이태상 칼럼] 동심에 청산이 있다
새들이 뭐라고 하는지 묻는 거니?참새, 비둘기, 홍방울새 그리고 개똥지빠귀는 말하지.“사랑해 또 사랑해”라고겨울엔 새들이 조용해, 왜냐하면 바람이 너무 세거든바람이 뭐라 하는지 나는 몰라그러나 바람은 큰 소리로 노래 부르지그래도 겨울...
[심선보 칼럼] 희망 고문은 이제 지겹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역시나 이번에도 동결하였다. 3.5% 9연속 금리 동결은 이미 예상된 결과라고 보인다. 여전히 불안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가계부채 증가세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망설이게 만들고 있다. 또한 중동 확전 우려에 국제유가도 치솟고 ...
[윤헌식의 역사 칼럼] 임진왜란 시기 권관(權管)의 위상
충무공 이순신의 『난중일기』나 『임진장초』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아마도 '권관(權管)'이라는 무관 벼슬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권관을 검색해 보면 '조선시대 변경지방 진관(鎭管)의 최하단위인 진보...
[고석근] 동정을 넘어서
용모는 그의 눈에 보이지 않았다. (...) 모든 여자의 뒷면에는 신성하고 신비스러운 아프로디테의 얼굴이 나타나는 것이었다. -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에서 마냥 귀엽던 아이가 사춘기가 ...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안녕하세요. 강라희입니다. 과부하 걸린 뇌는 달콤한 설탕을 원...
서재의 책꽂이에 꽂혀있는 책을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해야겠다는 마음 먹고 책을 정리하는데 ...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2025년 7월 23일, 해군...
가족과 함께 또는 연인과 함께 건강하게 걸으며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흉노는 아틸라의 훈제국을 끝으로 사라졌다 흉노는 어디에 있었으며 어떤 민족 국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