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256개 (163 페이지)
[이태상 칼럼] A Tribute to Poet Laureate Amanda Gorman
A Tribute to Poet Laureate Amanda Gorman Dear Ms. Amanda Gorman, As a fellow human, or rather cosmic being, you were...
[문용대 칼럼] 나는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한 해가 저물었다. 지난해를 돌이켜 보며 새해를 맞이했다. SNS를 통해 신나는 음악 동영상을 주고받고 안부나 덕담을 나눈다. 겪어보지 못했던 ‘코로나 19’ 탓으로 바깥활동이 부자유스러워서인지 신나는 음악이 끌린다. 덕담 중에는 건강이 단연 화두다. 우연히...
[정홍택 칼럼] 인생아, 너는 무엇이냐?
어렸을 때 이불 속에서 할머니에게서 들었을까, 초등학교 때 엄마가 읽어 준 동화일까. 줄거리가 생각날 듯 말듯 가물가물하지만, 나의 상상력으로 한 번 풀어볼까 한다. 옛날 아주 옛날, 산은 푸르게 높고 골은 한없이 깊은 숲속에 하얀 산이 삐쭉...
[이태상 칼럼] A Tribute to U.S.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A Tribute to U.S.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Dear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As a fellow human,...
[민병식 칼럼] 토마스 하디의 '이름 없는 주드'에서 보는 도덕성 회복의 의무
당대 영국의 도서관에 금서로 지정되었던 토마스 하디의 1895년 작으로 그의 마지막 소설이다. 무명의 주드, 비운의 주드,&...
[문경구 칼럼] 축복받는 순간들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일은 분명 하루하루가 축복을 받은 일이다. 그것을 자꾸 잊고 사는 나를 늘 깨닫게 하는 친구가 내게 있다는 것은 나에게도 분명 축복인 것이다. 여러 가지 축복 중에 가장 큰, 축복 속의 축복은 자식이 되어 부모와 함께 살아 숨 쉬는 순간들...
[김희봉의 삶의 향기] 알바트로스처럼 날게 하소서
새해 아침, 이어령 선생의 소원시가 유투브로 들어왔다. “벼랑 끝에서 새해를 맞습니다. 덕담 대신 날개를 주소서..”로 시작하는 기도문에 천인단애에 선 나라에 대한 절박감이 묻어있다. 대학 신입생 때, 그가 쓴 걸작, “흙 속에 ...
[문용대 칼럼] 거짓말
-모든 죄악은 거짓말에서 출발한다 ‘거짓’은, ‘참’의 반대말로 사실이 아님을 이르며, 허위(虛僞), 왜곡(歪曲), 날조(捏造), 조작(造作) 등과 동의어(同義語)로 쓰인다. 이처럼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처럼 꾸며 말함이 ‘거짓말’이다. ...
[민병식 칼럼] ‘나다니엘 호손’의 단편 '데이비드 스완'에서 보는 '기회' 의 의미
이 작품은 스무 살의 스완이라는 청년이 고향을 떠나 보스턴으로 취직을 하러 길을 나섰다가 나무 아래에 누워 잠깐 단잠에&nbs...
[문경구 칼럼] 발코니에서 생긴 일
주변에서 늘 맴도는 새들 중에 비둘기와 도브는 생물학적 유전자가 같은 집안일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덩치는 다르지만, 생김새가 비슷해서 마치 큰집과 작은집의 형제들 같은 외모에 울음소리가 없는 것도 같다. 새라고 하면 우선 아름다운 울음소리로 사람들의 마음...
[사설] 출판계의 얄팍한 상업주의와 문화사대주의
최근 출판계에 문화사대주의와 얄팍한 상업주의가 만연하고 있어 걱정스럽다. 금전 만능주의가 만들어낸 폐해라고 생각되지만 이미 도를 넘었다. 돈이 되겠다 싶은 외국 작품은 대형 출판사들이 엄청난 로열티를 주고 경쟁적으로 판권을 따온다. 그리고 서점에 내놓기 전까지 천문학적...
[문용대 칼럼] 내 책이 하늘나라에 전해지다
몇 년 전 「자랑스러운 친구 아내의 죽음」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 친구는 오십 년도 훨씬 지난 중학교 동창생이다. ...
[김용필의 인문학 여행] “역병구휼救恤 활인서”
(역병과 재난의 팬데믹은 국가가 책임지고 구휼해야 한다. 중세기 유럽 국가들은 역병이 일어났을 때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했다. 백성들의 원성이 커지자 책임을 모면하려고 이민족과 이단 종교로 탓을 돌려 마녀사냥을 하였다. 그런데 조선은 가장 현명하게 국가가 나서...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본 근현대사] 난중일기
2021년 새 아침은 밝아왔지만 삶의 환경은 어두침침하다. 인류를 기습 공격한 역병의 회오리에 지구촌이 간들거린다. 중세 유럽을 휩쓸고 간 흑사병이 그러했고, 우리나라(조선)의 명운을 걸어야 했던 임진왜란(1592~1598) 중의 전염병이 그러했다. 이순신 ...
[이태상 칼럼] 우리 모든 코스미안 삶의 방정식(方程式)
지난 2014년 중국계 프랑스인 중 어려서부터 2개 국어 언어를 듣고 자란 아이들과 태어나자마자 중국에서 입양돼 프랑스어만 듣고 자란 아이들에 대한 연구가 있었는데 이 두 그룹을 대상으로 중국어를 들려주었을 때의 뇌 반응을 촬영해본 결과가 동일했다고 한다. ...
[이태상 칼럼] 조조익성(早早益醒)의 비망록 8계(戒)
신년 초엔 많은 사람들이 새롭게 다짐한다. 아직 세상 때가 너무 묻다 못해 굳어 눈이 멀고 귀머거리가 되지 않은 마음이 젊은이들에게는 유용(有用)할 수도 있을 비망록(備忘錄) 8걔(戒)를 옮겨보리라. 이는 인류 역사 유사 이래 동서양을 막론하...
[정홍택 칼럼] 높이 날아 멀리 보자
희망의 새해가 밝았다. <새해>라는 단어 앞에 <희망>이라는 단어를 애써 붙여 보았지만, 현실을 바라보는 마음에는 먹구름이 무겁게 덮인다. 이 시대를 우리 후세들은 어떻게 정의할까? 종교 전쟁의 시대? 테러의 시대? 사방 어디를 둘러보...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당신은 누구입니까
별이 빛나는 밤하늘은 참 신비합니다. 수많은 별이 반짝이는데, 그중에 누구나 자기별 하나쯤 가지고 있을 겁니다. 광활한 우주에는 은하계가 있고, 은하계는 태양을 포함한 수많은 행성(별)이 존재합니다. 며칠 전 흥미로운 것을 알게 됐습니다. KBS 다큐멘터리를 보니 별의...
[이태상 칼럼] 우린 모두 카오스를 통해 코스모스로 피어나는 코스미안들이리
현재 전 세계 온 인류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신음(呻吟)하며 사경(死境)을 헤매고 있어서인지 최근 미국에서 유행하는 한 표어가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주고 있다. ‘여보시게, 여기 비결(秘訣) 좀 들어보시게 Here’s the s...
[민병식 칼럼] ‘나다니엘 호손’의 단편 ‘반점(Birthmark)'
좋은 단편소설은 아이러니를 반드시 내포하는데 아이러니의 정의(定義)는 표면과 이면의 불일치이다. 그것은 세계의 양면을 모두 파악하려는, 파편화된 세계를 총체적으로 종합하려는 인식이다. 아이러니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호손의 단편집에 실린 작품들은 뛰어나다. 인간의 모순...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안녕하세요. 조유나입니다. 시 한 줄이면 마음이 정리되지요.&...
안녕하세요. 조유나입니다. 시 한 줄이면 마음이 정리되지요.&...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나는 이천삼백이십구년 전 인간 아소카다. 갠지스강이 흐르는 너른 들판 비하르주 남...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닙니다.그 자유를 지키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