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07개 (131 페이지)
[이순영의 낭만詩객] 태만의 죄
맞다. 태만은 죄다. 원죄보다 더 악독한 죄다. 요즘 젊은이들은 ‘껄무새’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태만으로 지은 죄에 대한 자아 성찰한다. 껄무새는 반복해서 같은 말을 하는 ‘앵무새’와 ‘~할 걸’이라는 단어의...
[민병식 칼럼] 톨스토이 단편 '세 죽음'에서 보는 가치 있는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
톨스토이(1828~1910)는 두 살 때 어머니를, 아홉 살에 아버지를 여의었고, 27세에 셋째 형이, 31세 때는 맏형이 세상을 떠났다. 자신도 한때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이 작품은 톨스토이의 나이 30세 무...
[신기용 칼럼] 자기반성과 성찰의 문학
문학의 구실은 ‘자아 성찰’, ‘자아 발견’, ‘자아실현’ 따위의 용어와 맞닿아 있다. 이를 자기반성과 성찰이라고 요약하여 말할 수 있다. 김춘수 시인을 비롯한 여러 문인은 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을 ‘인간 구원’이라고 한다.&...
[김태식 칼럼] 세상 떠난 할아버지
80세 가까운 연세의 A할머니는 폭력성이 심한 치매를 3년째 앓고 계셨다. 치료되지 않는 불치병으로 점점 굳어져 가는 치매는 모든 식구들을 힘든 고통 속으로 몰아가고 있었다. 사회복지사가 한 달에 한 번씩 가정방문을 하는 날이면 할머...
[최민의 영화에 취하다] 은하철도999
얼마 전에 타계한 일본 만화의 거장 마쓰모토 레이지는 만화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의 만화는 문화전성기에 태어난 사람들에게 바이블이다. 마쓰모토 레이지가 그린 많은 만화 중에 으뜸은 은하철도999다. 세월이 흘러도...
[김용필의 인문학여행] 문학과 과학의 만남
과학과 문학의 만남은 아름다운 조화의 환상이다 과학의 합리성과 초월성은 논리와 직관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깊은 사유와 감동을 선사하는 문학이 된다. 문학작품 속에서 어떻게 상반될 것 같은 과학이 융합되어 신비주의적 창작을 구축할까? 과...
[김관식 칼럼] 효과적인 설득의 기술
오래전 제가 사는 거주지 지방자치단체와 호주 시드니 내의 지방자치단체와 자매결연 사업으로 나는 호주 중학생 홈스테이를 두 차례 한 적이 있었다. 청소년 상호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사업인데 홈스테이를 한 가정의 자녀가 중학생에 해당하면, 자매결연 ...
[이진서 칼럼] 이순신을 말하는 사람들 (상편)
지난 12월 23일 한반도 남쪽 부산에서 조용히 치뤄졌던 출판기념회 하나가 주목받고 있다. 이순신정신을 선양하는 단체인 여해재단을 만들기도 한 김종대 前 헌법재판관의 신작 『의역 난중일기』의 북콘서트를 겸한 자리였다. 난중일기 번역의 새 지평을 열었...
[임이로의 숨은영화찾기] '시대의 어둠을 밝히는 작은 등불' 영화, <동주>
영화 동주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시인 윤동주와, 독립운동가 송몽규의 짧은 생애를 담은 잔잔한 영화다. 동주와 몽규는 소싯적부터 동고동락하며 공부하고 끝내 함께 별이 되어 버린. 기구하다면 기구하고 낭만적이라면 낭만적인 운명 공동체였다.&...
[윤헌식의 역사칼럼] 『난중일기』에 기록된 1597년의 천안군수
충무공 이순신의 1597년 『난중일기』에는 그의 둘째 백의종군 시기에 일어난 여러 가지 일들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해 4월 1일 이순신은 옥문을 나와 백의종군 길에 올랐다. 4월 5일에는 고향 아산에 이르러 선...
[고석근 칼럼] 사디스트와 마조히스트
어느 날, 세상 요리를 모두 맛본 301호의 외로움은 인육에게까지 미친다. 그래서 바싹 마른 302호를 잡아 스플레를 해먹는다. 물론 외로움에 지친 302호는 쾌히 301호의 재료가 된다. 그래서 ...
[유차영의 아랑가] 속담파티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다. 1894년 우리나라 최초의 창가(唱歌) <새야 새야 파랑새야>가 불린 지 131년, 1905년 을사늑약으로부터 120년, 1910년 경술국치 이후, 1945년 해방광복으로부터 80년의 세...
[가재산 칼럼] 70%의 지혜, 계영배
얼마 전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KBS '진품명품'을 시청하던 중, 한 백자 술잔에 눈길이 멈췄다. 마치 달빛을 옮겨 담은 듯 은은하게 빛나는 그릇은 조선시대의 계영배(戒盈杯)였다. 그저 평범해 보이는 백자 술잔이었지만, 그 ...
[민병식 칼럼] 헨리크 입센의 ‘인형의 집’에서 보는 존중받아야 할 인간으로서의 남성과 여성
인형의 집(A Doll's House)은 1879년 노르웨이의 극작가 헨리크 입센(1828-1906)에 의해 발표된 희곡으로 은행가 헬메르의 아내 노라를 주인공으로 새로운 시대의 여성상을 세상에 보인 이야기로 전체 3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여계봉의 시론(時論)] 새해 '작심삼일(作心三日)'의 역설
필자는 새해가 될 때마다 연례행사처럼 몇 가지 계획을 세우고 정초부터 그 목표를 실천하려 야심 차게 한 해를 시작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연초에 약속한 결심이 흐지부지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어 의지가 약한 자신을 스스로 질책하곤 한다. 다른 사람들도 매년 새해가 되면...
[신연강 칼럼] 다시, 길 위에서
풍경을 담는다. 한 해 끝의 풍경은 가파르고 어둡다. 국가는 비틀거리고, 사회는 흔들리며, 발걸음은 비틀린다. 계절 탓일까, 자꾸 검은 옷을 걸치고 어디론가 달려가고 싶은 충동이 인다. “마음속에 축축한 1...
[신기용 칼럼] 시에서 마침표의 역할
2009년 봄, 문예교양지를 표방하고 창간한 계간 《연인》에 2010년 봄호부터 ‘한 줄 시’를 연재 발표한 시인이 있다. 그는 『한 줄의 시 싶다』(도서출판 문현, 2010)라는 시집에서 70편의 한 줄 ...
[최민의 영화에 취하다] 책상 서랍 속의 동화
우리는 이런 영화를 원했는지 모른다. 따뜻하고 아름답고 행복한 이야기에 눈물 적시며 찌든 삶에 오염된 마음을 씻어내고 싶었을 것이다. 앞만 보고 달려가는 브레이크 없는 기차를 탄 현대인들은 어디쯤에서 내려야 할지 모른 채 계속 달려간다. 그래...
[김은영 칼럼] 우주에서 오시는 이여!
내가 나에게! 참 오랜만이야. 왜 그랬을까? 너를 늘 생각하지만 정작 책상을 마주하고 앉지 못했어. 이 아침, 차가운 겨울의 풍경 앞에서 너를 만나지 않고는 내가 더 나아갈 수 없을 것 같아서 이렇게 너를 불러봐....
[홍영수 칼럼] 시인이여!
한 겨울이다. 계절적인 요인에서 오는 추위보다 온몸으로 느끼는 사회적 한파가 오히려 이 겨울을 더욱 춥게 느끼게 한다. 생의 추위를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사랑을 느끼지 못한 사람이듯, 평생 영혼과 육체의 추위를 느껴본 적이 없는 사람은 불행한...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사진=코스미안뉴스사진=코스미안뉴스사진=코스미안뉴스 요즘 이런 장독간을 보기 힘들다...
안녕하세요. 박지혜입니다. 시는 진실의 언어로 깨어나 우리에게...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시상식 사진에서의 손기정 선수(손기정기념재단)1936년 베...
“세상이여 반갑다. 사람들이여 고맙다.” 신문기자 출신 평론가...
안녕하세요. 박지혜입니다. 시는 진실이 언어로 깨어나 우리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