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22개 (172 페이지)
[이태상 칼럼] 이어령 선배님 영전에 바치는 조사(弔辭)
1936년생인 저는 1934년생인 선배님께 지난 2019년 12월 28일자 코스미안뉴스에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었지요.[항간세설] 경애하는 이어령 선배님께2019년 12월 24일 자 중앙일보 뉴욕판에서 강혜란 기자님의 이어령의 ‘생각들이 문화유전자처럼 퍼진다...
[홍영수 칼럼] 주이상스jouissance, “금빛 비늘”을 타파하라
우리가 독서를 할 때 어떤 책은 쉽게 읽히면서 재미도 있고, 어떤 책은 더디고, 이해되지 않는 책이 있다. 여기서 이해가 잘 안된다는 것은 읽고 난 후 말과 글로써 표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책들은 대부분 철학서와 <율리시스> 등의 문학이다. 혹시 ...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검을 보다
사진=신연강바람의 흔적을 보아라, 얼음 위에 남긴 칼의 노래를.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자유로운 영혼의 속삭임을. 동장군과 어울려 신명 나게 군무를 추고 사라지는 바람. 내년 이맘때 다시 돌아올 것이다. 글은 칼이다. 날카롭고 예리하며 따뜻하고 묵직한....
[이태상 칼럼] 벌새와 나
사람은 누구나 살면서 신화神話나 전설 傳說 또는 동화 童話 속 꿈같은 현실을 겪게 되는 것 같다. 2022년 2월 26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삶의뜨락에서] 칼럼 ‘부엉이와 나!’ 필...
[김관식의 양심선언] 시인의 의자·49
시인의 의자·49-문학인의 지조 1. 프롤로그 예술의 영역이 사회발달과 더불어 프랑스의 헤겔 미학에서 다루었던 건축, 조각, 회화, 음악, 문학 등 5개의 기본예술에서 무용, 연극의 공연예술, 그리고 영화. 사진, 만화, 게임 등으로 그 영...
[최규성 칼럼] 인명풀이 중애(仲哀)천황 5
◆소나갈질지(素那葛叱知)가 바로 족중언(足仲彦) 중애천황 65년 가을 7월에 임나국(任那國;미마나노쿠니)이 소나갈질지(蘇那曷叱知)를 파견하여 조공하였다. 임나는 축자국을 떠나 2천여 리, 북으로 바다를 사이에 두고 계림의 서남에 있다. ...
[이태상 칼럼] 우주의 반딧불/반딧불이 Cosmian: Cosmic Firefly
올해로 45회째를 맞은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으로 손보미(42) 작가의 사춘기 소녀가 겪는 성장통 단편소설 '불장난'이 결정됐다는 보도다.국가적인 차원에서는 한국의 20대 대선이라는 국내 집안 '불장난'의 막이 올랐고, 국제적으로는...
[하진형 칼럼] 3연(三緣)을 죽여야 나라가 산다
사진=하진형작금의 우리 사회는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안타깝게도 혼란의 시대다. 선거는 민주주이의 꽃이라는데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모르겠다. 참으로 이상하고 희한한 선거다. 확실한 것은 우리가 만든 혼란이라는 것이다. 현재는 선물(present)이라는데 선물...
[고석근 칼럼] 지각의 문
지각의 문을 닦으면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무한하게 보인다. - 윌리엄 블레이크 어릴 적에는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초가집에서 살았다. 하지만 부족한 줄 모르고 신나게 뛰어놀았다. 초등학교 6학년쯤에 호롱불이 전깃불로 바뀌고 초가지붕이 슬레이트...
[이태상 칼럼] 갈대의 노래
'말이 인격'이라 하는데 2022년 2월 21일 대선후보 TV토론에서도 막말 쏟아진 '막장 대선'이란 총평이다.'너나 아프고 청춘하세요! 우린 안녕하지 못하다고요!'가 지난 2013년 겨울 한국 대학에 나붙은 대자보의 푸념이었다면 그 해 (2013...
[민병식 칼럼] 마르셀 에메의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에서 배우는 세 가지 교훈
마르셀 에메(1902-1967)는 단편소설로 유명한 프랑스의 작가다.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는 그의 단편 5편을 모아놓은 단편집 중 한편이다. 벽을 통과하는 남자(1943)를 쓴 마르셀 에메(1902~1967)가 살던 시기는 1.2차 대전이 일어났던 시기이다....
[김용필의 인문학 여행] 슬픈 드네프르강
-우크라이나 돈바스의 국적 없는 고려인 난민 “도와주세요. 우린 조국도 국적도 없는 난민입니다. 카자흐스탄에서 이주할 때 국적을 잃었고요. 돈바스 분쟁으로 난민이 된 고려인이랍니다.” 시욘은 코카서스와 우크라이나에 사는 고려인들의...
[문경구 칼럼] 모란의 시간들
시인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라는 시를 외우기 위해 서로 지켜보며 기다려 주던 학창 시절의 친구가 아직 나와 세상을 함께 걸어가고 있다. 태평양 너머 멀리 있다는 게 흠이지만 그 시절의 이야기들은 늘 그리움의 다리를 놓아준다. 그때 무작...
[홍영수 칼럼] 시김새와 그늘의 미학, 판소리
명창 임방울의 <쑥대머리> 영화 <서편제>는 평소에 판소리에 관심이 없는 이들에게도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았다. 그 이유는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슴속에 품고 있는 恨과 슬픔의 정서를 영화 속 판소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일 ...
[최규성 칼럼] 인명풀이 중애(仲哀)천황
◆중애천황의 아버지 일본무존(日本武尊)이 바로 구형왕(仇衡王)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가야국 구형왕(仇衡王)이 신라 법흥왕에게 항복할 때 세 왕자를 데리고 함께 왔다고 하며 그 세 왕자의 이름을 ‘노종(奴宗), 무덕(武德), 무력(武力)’ 또는 ...
[김관식의 양심선언] 시인의 의자·48
시인의 의자·48-억새꽃 시인의 의자가 있는 강변에는 억새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서 흔들거렸습니다. 바람 불 때마다 쓰려졌다가 일어서고 다시 쓰러지고 몸 시를 쓰고 있었습니다. 강변은 코로나로 답답한 사람들이 자전거 하이킹을 즐기고 있었습니다. 가끔 시인의...
[하진형 칼럼] 죄 많은 어머니? 복 많은 할머니!
자세히 살피지 않았다면 자칫 지나칠 뻔했다. 겨우 조금 올랐던 낮 기온이 땅거미와 함께 떨어지는 겨울 초저녁은 온통 검회색이다. 겨울 땅이 그렇고, 사람들의 옷이 또 그렇고 초저녁 어둠이 그렇다. 서재 겸 농장에서 일을 마친 후 사립문을 닫고 나와 도로로 진입하는데 맞...
[고석근 칼럼] 독서
목적이 없는 독서는 산보일 뿐 독서가 아니다. - B. 리튼 어제 강의 시간에 한 수강생이 ‘오늘 공부하며 독서 방향이 잡혔다’고 말했다. 기분이 너무나 좋았다. “전에는 즐거움을 위해 책을 읽었어요. 앞으로도 취미로 책을 읽...
[민병식 칼럼] 안톤 체호프가 그의 단편 ‘우수’에서 지적하는 인간의 단절
안톤 체호프(1860-1904)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활동했던 러시아의 극작가, 소설가로 의사 출신이며 러시아를 대표하는 대문호 중 한 명이다. 푸시킨에서 시작되어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로 절정을 이루었던 러시아 문학 황금시대의 마지막 작가로 꼽...
[최규성 칼럼] 인명풀이 중애(仲哀)천황
◆가수리군(加須利君)=가실왕(嘉悉王)=중애(仲哀天皇) 『삼국사기』 기록에 남아있는 가야국의 ‘가실왕’은 가야금의 명인 우륵에 관한 기사에 그 이름만 짤막하게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일연스님의 『삼국유사』에는 시조 수로왕에서부터 마지막 제10대 구형왕까지...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3분 신화극장] 바스크의 여신, ‘마리’  ...
길러지는 것은 신비하지 않아요. (…) 아무도 나를&...
꿈의 예술단 합동캠프 「2025 꿈의 페스티벌」이 8...
“권불십년, 화무십일홍” 이 짧은 격언은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사람들의 가슴에 깊...
< 다면목간 초분광 분석 사진 >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경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