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30개 (177 페이지)
[이태상 칼럼] 우리가 볼 수 있는 아름다움으로 족하리
2021년 9월 23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삶과 생각] 칼럼 '괜찮아, 연습이야' 필자 이수진 프리랜서 작가는 "숨을 쉬고 있는 한, 예외 없이 실패는 찾아 올 것이라는 것을, 그런데도 우리는 왜 이 삶의 여행을 멈추지 않는 것일까?" 자문한 ...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참, ‘드라이’ 하군요!
사진=신연강헤어지고 나서 그 의미를 곰곰이 새겨보았다. 돌아와서 사전을 들춰보니, 드라이(dry)의 의미는 “마른, 건조한, 무미건조한, 좀 더 나아간다면 ‘멋없는’”등의 부정적 뉘앙스를 가진 단어였다. 물론 일상에서 많이 쓰는 드라이(젖은 머리카락을 말릴 때 쓰는 미...
[이태상 칼럼] 탈종교 코스미안의 신곡神曲 아닌 인곡人曲, 아니 우곡宇曲 (속續)
2021년 9월 22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논단] 칼럼 '가장 위대한 시인의 유산' 필자 민경훈 논설위원은 "700 주기를 맞아 '시인의 정점' '이탈리아의 아버지'로 불리는 단테의 대작(신곡)을 읽어보는 것이야말로 경의를 표하는 가장 좋은 방...
[사설] 마키아벨리의 따귀를 한 대 갈기고 싶다
가을이 왔다. 일년 중 가장 풍요롭고 쾌적한 계절이다. 하늘은 높아만 가고 길가에 핀 코스모스는 그 청초함을 더하고 있다. 달 밝은 밤에 귀뚜라미가 울면 사람들은 뭔가를 그리워하면서 잠을 설친다. 이맘 때면 걸망 하나 메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 방랑벽이 도지는 사람들도...
[이태상 칼럼] 오페라 '카오스' Opera 'Chaos'
오늘 아침 (2021년 9월 22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칼럼 '오페라, 영혼의 카타르시스' 필자 정숙희 논설위원은 "오페라를 감상하고 나면 영혼이 맑아진듯한 정화감을 갖게 된다"고 그녀 자신의 체험담을 이렇게 적고 있다."1년6개월의 팬데믹...
[이태상 칼럼] 영과 육, 이상과 현실이란 수수께끼
"종교, 철학, 시문학, 과학 같은 인간정신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국가라는 정치제도외에,, 그 위에, 그 너머, 그리고 때로는 자주 그 반대편에 존재한다고 나는 생각한다.I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
[민병식 칼럼] 나다니엘 호손의 환타지 소설 '페더탑'에서 보는 성숙한 인간의 조건
나다니얼 호손(1804-1864)은 미국 소설을 창시한 주역으로 꼽히는 소설가 중 한 사람으로, 19세기 미국의 초상을 생생하게 그려 내면서 '위대한 미국 소설'을 썼다고 평가받는 인물이다. 청교도주의에 기반한 미국 사회와 그 삶을 배경으로 하여 인간 내면의...
[이태상 칼럼] 유엔(UN)을 대체할 씨유(CU - Cosmian Union) 탄생을 축원하며
오늘 아침 (2021년 9월 20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오늘의 노트] "유엔(UN)' 필자 류은주 엑세스 바이오 CBDO는 코로나 확산과 백신 불평등 같은 전혀 새로운 글로벌 이슈들 앞에서 유엔이 여전히 효과적인 국제협력을 끌어낼 것인가에 세...
[이태상 칼럼] 한가위에 ‘달무리’ 아니 ‘우주무리’가 되어보리
너도 나도집을 향한 그리움으로둥근 달이 되는 한가위우리가 서로를 바라보는 눈길이달빛처럼 순하고 부드럽기를우리의 삶이욕심의 어둠을 걷어내좀 더 환해지기를모난 미움과 편견을 버리고좀 더 둥글어지기를두 손 모아 기도하려니 하늘보다 내 마음에고운 달이 먼저...
[이태상 칼럼] 지금이 영원이야 Now Is Eternal
오늘 아침 (2021년 9월 17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칼럼 '왜 지금 말하지 않는가' 필자 권정희 논설위원은 엘비스 프레슬리가 '지금뿐이야 It's Now Or Never'라고 노래했듯이 '지금'의 소중함을 이렇게 적고 있다.우리가 사랑하는 대상에...
[김희봉 칼럼] 뛰모와 기모
얼마 전, 한국 일간 신문에 실린 “어머니의 조건”이란 글을 가가대소(可可大笑))하며 읽었다. 요즘 한국 어머니들을 풍자적으로 분류했는데 그것들은 ‘밀모’(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식을 팍팍 밀어붙이는 엄마), ‘뛰모’(자녀와 예습 복습하며 함께 뛰는 엄마...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거울 Cosmian Mirror
오늘 아침 (2021년 9월 16일자) 미주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살며 생각하며] 칼럼 '90대10' 필자 김선주 / NJ 케어플러스 심리치료사는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들은 우리 인생에서 단지 10%에 지나지 않는다"며 "나머지 90%는 우리가 그 일...
[이태상 칼럼] 자주 독립 평화 통일 정당 코스미안당 탄생을 고대하며
2021년 9월 14일자 미주 뉴욕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인사이드] 칼럼 '극도의 초조감의 발로인가---' 필자 옥세철 논설위원은 한반도를 둘러싼 현 세계정세를 이렇게 분석 진단하고 있다.‘살다 살다 최순실 편을 드는 날이 올 줄은 몰랐다’-. 최순실씨가 안...
[민병식 칼럼] 니콜라이 레스코프'의 왼손잡이'에서 보는 없어져야 할 사회 특권층의 이기
러시아 민중의 삶을 독특한 구성과 필체로 표현했다는 니콜라이 레스코프(1831-1895), 막심 고리키는 그를 톨스토이, 투르게네프, 고골과 같은 러시아 문학의 창조자들과 같은 선상에 놓인 자격이 충분하다고 말한 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톨스토이나 도스토예프...
[이태상 칼럼] 탈종교脫宗敎 코스미안의 신곡神曲 아닌 인곡人曲, 아니, 우곡宇曲
오늘 아침 2021년 9월 14일자 뉴욕판 중앙일보 [칼럼 20/20] '살라흐 앗 딘' 필자 김완신 LA중앙일보 논설실장은 '이슬람은 평화와 공존의 종교'라고 이렇게 소개한다."단테의 ‘신곡’은 지옥, 연옥, 천당의 노래로 구성돼 있다. 단테는 지옥과 연옥...
[문경구 칼럼] 부끄러운 진실
나의 아버지께서는 당신의 구십육 년이라는 긴 페이지의 세상 기록부를 마지막으로 덮으시고 세상을 떠나셨다. 생전에 받으셨던 신체검사에서 티끌만큼의 건강 이상이 없으신 몸으로 반세기를 배후자 없는 세상에서 홀로 사신 것이 전부이다. 가시던 날 ...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여정旅程은 배움의 나들이이리
오늘 아침 지인에게서 이메일로 받은 ‘어느 재미교포가 쓴 글’을 옮겨 본다. "한국에 와 보니 웬만한 동네는 모두 고층 아파트가 되어있다. 가정집뿐만 아니라 심지어 공중화장실에도 미국에서는 부자들만 쓰는 비데가 설치되었고, 주차티켓을 뽑는 그...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 관점觀點 Point of View 아니 비전 Vision
2021년 9월 11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칼럼 ‘확신을 버릴 때 얻는 것’ 필자 이은정 휴스턴대학교 조교수는 ‘열린 마음, 열린 사고, 열린 자세 Open-Minded’의 장점을...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은 우상偶像/성상聖像 파괴자
2021년 9월 8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정숙희의 시선] 칼럼 '백남준, 문화 테러리스트' 필자는 백남준을 이렇게 소개한다."해마다 여름이 오면 샌프란시스코로 올라가 현대미술관(SFMOMA)에서 하는 특별전을 보고 인근 와인산지를 여행하는 것이 작은...
[이태상 칼럼] 꿈 같은 코스미안 인생 악몽惡夢 아닌 길몽吉夢으로 웃으며 살아보세
2021년 9월 8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칼럼 [단상] '지구가 아프면 나도 아프다' 필자 정은실 수필가는 “인류는 한 몸/ 한 뿌리에서 나온 영혼/네가 아프면/ 나도 아프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사람도 아니지”(13세기 페르시아 시인 사...
Opinio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경상우수영 가배랑진성을 답사 중인 거제이순신학교 제1기 수강생들 거제이순신학교 제...
[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n...
청소년 시절 셰익스피어의 ‘오셀로(1565)’를 읽다가 그 작품 속의 주...
‘신(神)들의 벗, 해민(海民)의 빛’을 주제로 삼은 이번 축제는 탐라의 뿌리와...
안녕하세요. 김수아입니다. 시는 상처 난 마음을 섬세하게 봉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