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253개 (163 페이지)
[홍하진 칼럼] 지속 가능한 인류가 되기 위해서
[제6회 코스미안상 은상] 당선 소감 평소 칼럼을 읽고 있지만 제가 쓸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고 저와는 다른 세계의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남들의 눈에는 작은 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이 상이 저의 삶에서는 커다란 물결이 될 것 같습니다. ...
[김관식 칼럼] 잊혀질 권리
몇 해 전의 일이다. 조지훈 시인의 작품을 연구하다가 인터넷에 낭송시로 여기저기 떠도는 조지훈의 「思慕」라는 시를 읽었다. 여러 번 읽어도 조지훈 시인의 시 경향과는 전혀 달랐다. 조지훈은 경북 영양의 명문가로 부친이 한의학자였다.&...
[이태상 칼럼] 네 번째 그녀, 코스모스
그녀, 뜨겁다. 태양보다 더 뜨거웠다. 온몸이 타들어 갔다. 영혼까지 타들어 가고 있었다. 견딜 수 없는 뜨거움, 그 뜨거움에 나는 타오르고 있었다. 두 눈을 감았다. 이제 뛰어내리기만 하면 모든 ...
[유차영의 아랑가] 달도 하나 해도 하나
모두야~ 우리들은 단군의 자손모두야~ 우리는 코스미안 지난 10월 27일, 제6회 코스미안상 시상식을 ‘세종문화회관, 가온’에서 시행했다. 코스미안뉴스 신문사에서 주관해 온, 1년에 한 번...
[임이로의 숨은영화찾기] 운명을 그토록 사랑하여. 영화 <컨택트>
최근 과학계에선 ‘시간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그렇다. 근대부터 보편적으로 여겨지던 ‘시간’이라는 개념은, 과학계의 논쟁처럼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드니 빌뇌브 감독의 영화 ...
[윤헌식의 역사칼럼] 『난중일기』에 나타난 이원익과 이순신의 관계
조선시대의 명재상을 꼽으라면, 반드시 거론되는 인물 가운데 한 명이 바로 이원익(李元翼)이다. 그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려(功勵), 호는 오리(梧里), 생몰년은 1547~1634년이며, 태종의 아들...
[고석근 칼럼] 성농담과 성희롱 사이
모시야 적삼에 반쯤 나온 연적 같은 젖 좀 보소 많이야 보면 병난단다 담배씨 만치만 보고 가소 - 상주 지역 민요, <採蓮謠(공갈못 연밥 따는 노래)> 부분 어...
[가재산 칼럼] 마음의 노숙자
노숙자는 일할 능력이 있어도 일하지 않거나 못하는 사람들이다. 길거리 노숙자는 대개 일시적인 경제적 빈곤으로 정해진 주거 없이 공원, 길거리, 지하철 등을 거처로 삼는다. 이러한 노숙자는 사실 거리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몸...
[신기용 칼럼] 내 몸에도 나이테가 자란다
복이 호박 덩굴처럼 굴러오면 얼마나 좋을까? “복은 쌍으로 안 오고 화는 홀로 안 온다.” 이런 우리 속담처럼 복은 덩굴째 굴러오지 않는다. 만일 복이 들어와도 다 누릴 수도 없다. 이를 다 누리려고 아등바등하다 보면 마음과 몸이 망...
[민은숙 칼럼] 소년 시대를 공략하는 충청도 화법
충청도가 낳고 키우고 취업시키고 중매도 서곤 여전히 품고 있는 나는 이 고장을 벗어난 적이 없다. 어쩌다 연수나 행사 또는 여행 때문에 떠난 적은 있을지언정. 바늘에 실을 길게 꿰면 멀리 시집을 간다는 민담을 들었다. 나는 최대한 길~게 실을...
[김태식 칼럼] 해국海菊
가을의 꽃은 국화다 국화는 봄, 여름을 지나는 동안 몇 번의 꺾꽂이를 거쳐 가을이면 꽃을 피운다. 곳곳에서 열리는 가을 국화 전시회가 사람들의 발길을 끈다. 이 꽃들은 화원이나 집에서 인공적으로 가꾸어 키운 것이다. &nbs...
[지영미 칼럼] 호모 픽투스의 비애
[제6회 코스미안상 은상] 당선 소감 감나무가 봉긋이 열매를 달기 시작할 때 썼던 글이 결실을 거두었습니다. 이제 감나무도 주황빛이 선연한 감을 달았습니다. 글쓰기는 보이지 않는 이정표를 찾아가는 길이지만, 혼자만의 방에서 내면의 소...
[홍영수 칼럼] 산숭해심(山崇海深), 산은 높고 바다는 깊다
집 정리를 하던 중 책장 맨 위에서 종이 두루마리를 발견하고 펼쳐보니 추사의‘세한도(歲寒圖)’와 ‘‘불이선란'(不二禪蘭)’의 영인본이었다. 아마 15년 전 충남 예산의 추사 고택을 방문했을 때 관리소 사무실에서 구입한 것으로 기억난다.&nbs...
[김관식 칼럼] T.O 마인드(Take-Over Mind)로 마인드 혁명을
미국의 컨설턴트로 유명한 게리 게이블은 『마인드 혁명』이라는 책을 통해 성공적인 삶을 위한 최고의 전략으로 T.O 마인드(Take-Over Mind) 12단계 기법을 제시했다. 이는 불교의 『화엄경(華嚴經)』에 일체유심조(一...
[이태상 칼럼] 세 번째 그녀, 진선미
그것은 신념이었다. 종교라는 믿음의 신념이 아니라 갈고 닦아서 본질을 들여다보고 싶은 신념으로 시작한 학문이었다. 수재라는 칭호는 늘 나를 따라다녔지만 나는 모두가 선호하는 서울대 법대나 경제학부를 가지 않았다. 대신 돈벌이도 되지 ...
[이윤배 칼럼] 정년연장과 노인 연령 상향 조정의 딜레마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정년 연장과 노인 연령 상향 조정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등장하고 있다. 100세 시대를 살아야 하는 현실 앞에 지극히 당연한 화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년연장과 노인 연령 상향 조정 문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조...
[심선보 칼럼] 주택시장의 양극화 여전히 지속된다
최근 몇 년간 우리 대한민국의 주택시장은 점차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이는 특정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반면, 다른 지역은 가격 하락이나 정체를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택시장 양극화와 관련하여 '똘똘한...
[윤헌식의 역사칼럼] 『난중일기』에 기록된 종이
종이는 기원전 50년경 중국에서 발명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종이의 발명은 동서양 문화의 발달에 커다란 혁신을 불러온 사건이다. 현대 사회에서 종이는 자동화된 생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지만, 과거에는 많은 인력이 동원된 수공업을 통해...
[곽흥렬 칼럼] 유행가의 격
월요일 밤, 늦은 저녁을 끝내고 거실에 앉아 텔레비전을 즐기고 있다. ‘가요 무대’ 프로에서 구수한 트로트가 흘러나온다. 추억의 옛 노래 몇 곡이 끝나고, 인기 남자가수 송 아무개의 <분위기 좋고>가 흥을 돋운다....
[고석근 칼럼] 운우지락(雲雨之樂)
비가 오면온몸을 흔드는 나무가 있고 - 이상희, <비가 오면> 부분 한 여성 화가가 말했다. “장대비가 내리는 날, 금강에 나체로 들어갔어요. 온몸으로 비를 흠뻑...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십니까. 코스미안뉴스 천보현 기자입니다.&nbs...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