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30개 (177 페이지)
[이수아의 산티아고 순례기] 걷는 것의 단순함
순례여행에서 나의 첫 번째 기록이다. 기록자가 되는 것은 처음 접하는 일이라 상당히 힘든 작업이다. 이제 3일째인데 온종일 하는 일이라고는 걷는 것 밖에 없었다. 걷는 것이 비록 단순한 일이지만, 내 발과 몸을 보...
[이봉수 칼럼] 역사는 발전과 반복을 거듭한다
역사는 발전한다. 유물론자들이 주장한 역사발전 단계설을 말하자는 것이 아니다. 역사적 사실인 팩트는 세월이 가도 변함이 없는데, 그 사실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관점에서 해석하느냐에 따라 역사는 발전하는 것이다. 인간 정신이 고도로 진화할수록 역사도 그만큼 발전할 수밖...
[고석근 칼럼] 인류 희대의 사기극
농업혁명은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은 사건 중 하나다. 일부에서는 그 덕분에 인류가 번영과 진보의 길에 들어섰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파멸을 불러왔다고 주장한다. 사피엔스가 자연과의 긴밀한 공생을 내던지고 탐욕과 소외를 향해 달...
[이순영의 낭만詩객] 가난이 죄
가난한 자에게 복은 없다. 가난을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자에게 복이 있을 뿐이다. 현대 사회에서 욕망의 대상은 부자다. 인생 최대의 목표가 부자이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보지 못한 사람과 인생을 논하지 말라느...
[민병식 칼럼] 장 자끄 상뻬의 '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에서 배우는 고정관념 깨기
프랑스 보르도 출신의 장자끄 쌍뻬(1932~ )는 프랑스에서 데생의 일인자로 꼽히는 세계적 그림 작가이다. 1960년 '르네 고시니'와 함께 ‘꼬마 니콜라’를 만들며 삽화가로서의 명성을 얻었고, 1991년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좀머 씨 이야기...
[김태식 칼럼] 세계 6위의 나라
새해에 미국의 어느 언론매체에서 전 세계 국가들의 경제력 국방력 그리고 다른 나라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종합해서 국가 순위를 발표했는데 우리나라는 영국 독일에 이어 6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통적으로 우리보다 상위급에 속해 있었던 프랑스를 7위...
[허석 칼럼] 골목길을 걷다
골목길은 삶의 자궁이다.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도 존재하는 골목들, 세상으로 향하는 길은 골목에서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누가 만들었을까? 햇볕 따사로운 곳에 외딴집, 먹을거리를 찾거나 말동무를 만나러 걷다 보면 바...
[전명희의 인간로드] 위대한 제사장 ‘바시’
나는 팔천오백 년 전 인간 ‘바시’다. 여섯 개의 지류가 인더스강으로 몰려드는 광대하고 비옥한 땅에 산다. 들판 가운데 있는 마을은 풍요롭고 평화로워 사람들은 다툼 없어 살고 가축들은 포동포동 살이 오른다. 나는 마을 사람들에게 존경...
[김관식의 한 자루의 촛불] 미래의 충격
앨빈 토플러는 『미래 쇼크』에서 과일 자극을 받게 되면 정신 혼란·방향감각 상실 또는 현실 왜곡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고, 이것들에는 피로, 불안감, 긴장 또는 극단적인 초조감 등 똑같은 징후가 존재하며, 이들 모두의 경우 ...
[이태상의 항간세설] 처음의 처음으로 돌아가야
“세계는 ‘가보지 않은 영역’으로 접어들었고 세상은 코로나바이스러 같은 질병에 대비하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The world was entering into ‘uncharted territory’ because it was not prepared for a pande...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무질 또는 부질, 없는 일
복잡하고 오묘한 듯한 삶은 알고 보면 무척 단순할 수도 있다. 삶과 죽음, 이 두 단어로 표현되는 양자는 상호 간 경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한순간 삶에서 죽음으로 건너가기도 하고, 한편으로 각각의 영역에 속한 것을 확고하게 가두기도 한다.&n...
[하진형 칼럼] 겨울옷 한 벌
어느 날 문우(文友)들과의 답사 중에 여행목적과 어울리지 않게 콤비를 입고 왔냐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편한 복장으로 오라고 해서 별 생각 없이 일상생활 중에 늘 입던 것을 입었는데 동행인들에게는 조금은 뜨악하게 보였는가 보다. 하긴 모두...
[고석근 칼럼] 가상과 실재
동굴 안에 죄수들이 갇혀 있다. 이들은 오직 맞은편 동굴 벽에 있는 그림자만 볼 수 있도록 온몸과 목이 사슬에 묶여 고정된 상태이다. 죄수들의 뒤에 있는 장벽 위에서 사람들이 모닥불을 피워놓고 그 앞에서 그림자놀이를 하고 있다. 죄수들이 보고...
[이순영의 낭만詩객] 청산은 나를 보고
‘자연예찬’ 덕후들이 많아지는 세상이다. 문명이 발달하고 물질이 풍부해져서 사는 일이 좀 헐거워졌지만, 그런데도 자발적 가난을 택하는 ‘웰빙’이나 ‘소확행’을 추구하는 참살이족들이 꾸준하게 늘고 있다. 잘 먹고 잘살...
[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영어 제목의 첫 대중가요 <럭키서울>
한국대중가요 100년사에서 노래 제목에 영어를 사용한 시기는 언제쯤일까. 그 노래, 제목도 궁금하고, 노랫말(가사)을 음유할 수 있으면 더욱 흥미진진하리. 우리가요 100년(130년)의 역사는 1894년 불...
[민병식 칼럼] 몰리에르의 희곡 '인간 혐오자'에서 배우는 세상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덕목
몰리에르(1622-1673)는 17세기 프랑스의 대표적 극작가로 불린다. 인간 혐오자’는 1666년 6월에 초연된 희곡으로 몰리에르의 작품 중 가장 완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은 작품이다. 또, 프랑스 왕정시대에 왕족...
[김태식 칼럼] 불경기 속의‘노블레스 오블리주’
25년 전에 불어 닥친 IMF 한파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 불고 있는 세계적 경제위기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지구촌 전체를 강타하고 있다. 기업들은 앞다투어 구조조정을 하고 몸집 줄이기에 바쁘다. 중소기업들...
[허석 칼럼] 가면, 나 아닌 나
모 TV 방송국에 <복면가왕>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특이한 가면과 복장으로 얼굴과 신체를 숨겨 누구인지 모르는 상태로 노래를 부른다. 결국은 경연의 일종이지만 선입견과 편견을 배제하고 노래로만 평가한다는 데 의의...
[홍영수 칼럼] 관곡지에서 만난 잭슨 폴록
어느 해 늦가을, 우리나라 최초의 蓮 시배지인 시흥시의 관곡지에 갔다. 하늘대는 연잎과 연꽃향은 초겨울로 접어들면서 이미 생명을 다했다. 오히려 이러한 풍경에 시선이 더 쏠리면서 많은 걸 생각게 한다. 필자는 오색단...
[이봉수 칼럼] 정운 장군의 죽음을 슬퍼하는 제문(祭文)
1592년 음력 9월 1일(양력 10월 5일)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은 적의 소굴인 부산포를 공략하여 개전 이래 최대의 격전을 치르고 승리했다. 그러나 이날 애석하게도 선봉에서 싸우던 녹도 만호 정운 장군이 적탄을 맞고 전사했다.제증참판정운문(祭贈參判鄭運文)...
Opinio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경상우수영 가배랑진성을 답사 중인 거제이순신학교 제1기 수강생들 거제이순신학교 제...
[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n...
청소년 시절 셰익스피어의 ‘오셀로(1565)’를 읽다가 그 작품 속의 주...
‘신(神)들의 벗, 해민(海民)의 빛’을 주제로 삼은 이번 축제는 탐라의 뿌리와...
안녕하세요. 김수아입니다. 시는 상처 난 마음을 섬세하게 봉합...